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우리의 노력 3] 분리수거 제대로 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막아라!Part 1. [사건의 발생] 재활용 업체, 쓰레기 수거 거부!Part 2. 재활용 쓰레기, 어디로 갔을까?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Part 4. [우리의 노력 2] 1회용품 사용을 줄이자!Part 5. [우리의 노력 3] 분리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G유플러스 홈미디어 체험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결했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멀리서도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는 건 손으로 누르는 전등 스위치가 아니라 통신망이 연결된 똑똑한 스위치가 있기 때문이에요. 가습기는 자체적으로 통신망을 연결할 수 있는 스마트 제품이고요. 이밖에도 통신망과 연결된 플러그가 있으면 ... ...
- 달로 간 수학자수학동아 l2018년 09호
- 토마스 해리엇을 기리는 의미에서 만든 특별 코스입니다~.” “달 지도를 처음으로 그린 건 갈릴레오 갈릴레이 아니에요?” 그러자 토끼는 기다렸다는 듯 마이크를 켜고 설명을 시작했습니다. 세계 최초의 달 지도 그린 수학자“많은 사람이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세계 최초로 달 지도를 그린 줄 ... ...
- 꿈틀꿈틀! 미분하는 벌레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벌레는 하등한 동물이라고 생각하기 쉬워서 벌레가 고민이나 생각 같은 일을 한다는 건 상상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유전학과 연구팀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벌레는 생각을 많이 해야 풀 수 있는 미분 문제의 달인이다. 미분은 고등학교에서 처음 접하는 수학 ... ...
- [별난 이름 정리]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9호
- 크기가 제각각이라 똑같이 나눠지지 않을 것 같지요? 1994년 래리 카터와 스탠 웨이건은 직소 퍼즐처럼 피자를 조각내는 ‘해체 퍼즐’ 방법으로 수식 없이 피자 정리를 증명했습니다. 해체 퍼즐은 같은 조각으로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만드는 퍼즐입니다. 두 사람은 8조각을 각각 더 작은 ... ...
- Part 2. 개성만점 수상자들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실패담을 소개한다. 인터뷰는 꺼린다 - 코체르 비르카 필즈 메달 도난 사건 때문일까? 비르카 교수는 대회장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그런데 김 기자에게 행운이 찾아왔다. 대회장 구석에 앉아 취재 준비를 하던 중 비르카 교수가 영상 촬영차 대회장에 온 게 아닌가. 김 기자는 ... ...
- [SW 기업 탐방] 선진 물류 시스템을 꿈꾼다, 메쉬코리아-부릉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사업이 더 잘되는 상생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그리고 일반 소비자에게 배달이 단순히 물건을 옮기는 일이 아닌 ‘내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드는 전문적인 일’이라는 인식이 생기길 바란다. 김 CTO는 “물류 시장의 규모와 수요는 빠르게 커지는데, 배달 기사를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몇십 년 전이랑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책임연구원은 “해저탐사 로봇을 이용하지 않고 열수공에서 직접 각종 시료를 퍼 올린 건 우리가 처음”이라고 말했다.플랫폼 데크로 내려가 살펴본 이사부호의 기관실은 이런 사실을 실감하게 했다. 대형 원룸보다 큰 초대형 발전기 4대가 나란히 늘어서 있었고, 이곳에서 만들어낸 전기를 모터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있습니다.doi:10.1038/nature10239 성을 유지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 여기서 놀라운 건 배아 발달 중에 유전자를 지운 게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이미 성별이 결정된 후, 심지어 생식기도 다 만들어진 성체에서 유전자를 지웠더니 생식기의 세포가 남성에서 여성, 또는 여성에서 남성으로 바뀌었습니다 ... ...
- Part 2. 비버챌린지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8년 09호
- 활기찬 비버의 이름을 땄습니다. Q 어떤 문제를 출제하나요?비버챌린지 문제는 출제 조건이 있는데, 사전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풀 수 있어야 하고, 익숙하고 친숙한 일상의 문제 상황을 넣어 마치 퀴즈를 풀 듯 참가자들이 재미를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Q 컴퓨팅 사고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