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뉴스
"
융합
"(으)로 총 3,791건 검색되었습니다.
경기도형 닥터헬기 1호 이륙…24시간 항공의료시대 열다
연합뉴스
l
2019.08.30
이송하는 것 자체도 대한민국에 없었던 패러다임인데 더 나아가 소방과 완전히
융합
된 시스템이 구축됐다"며 "경기도가 대한민국 항공 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수원=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 29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열린 응급의료전용헬기 ... ...
울산에 차세대 수소
융합
기술연구소 2024년 건립
연합뉴스
l
2019.08.30
없어 울산과학기술원 차세대 수소
융합
연구소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며 "차세대 수소
융합
기술연구소를 건립해 정부의 2030년 수소 산유국 도약 목표를 선도할 수 있도록 행정·재정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ETRI, 내달 열리는 IFA 2019에서 AI 기술 대거 선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기술, 딥러닝 고속처리 시스템, AI 동작 분석 기술 등 4개 기술을 선보인다. 스마트ICT
융합
연구단의 김현 박사가 스마트팩토리 관련 주제발표도 진행한다. ETRI가 선보이는 스마트팩토리 운영제어 시스템은 3D 프린터나 로봇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 생산을 위한 스마트팩토리를 운영하는 기술이다. ... ...
핵
융합
硏-중기, 플라즈마 기술로 일본 전량 수입 반도체 소재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통해 국내 반도체 생산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석재 핵
융합
연 소장은 “출연연구기관이 기업에 이전한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재 국산화 성공의 대표적 사례”라며 “플라즈마 기술이 반도체 공정의 80% 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 ...
전기차 배터리 용량 늘릴 새 음극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5배 늘리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시뮬레이션 해석과 실제 실험적 관찰이 통합된
융합
연구 결과”라며 “실리콘 기반 음극소재가 적용된 리튬이온전지가 앞으로 전기차 핵심 부품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나노'에 게재됐다 ... ...
전기분해 수소생산 복합재료 촉매 개발…“비싼 백금 대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결합된 황의 수가 많아져 촉매 성능이 기존에 비해 약 30% 향상됐다. 이성호 KIST 탄소
융합
소재연구센터 센터자은 “기존의 삼황화몰리브데넘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사례”라며 “저비용 고효율 친환경 수소 생산 성능을 구현해 수소 자동차 등의 대중화를 앞당기는 초석이 될 것으로 ... ...
KAIST AI 대학원 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나섰다. KAIST는 “글로벌 리더급 AI 핵심인재를 양성하고, 주력산업을 혁신하는
융합
형 인재를 양성한다는 투트랙 전략을 추진했다”고 밝혔다. 석사·박사·석박사통합 등 3개 학위 과정으로 구성돼 있다. 머신러닝 등 18개 교과목으로 구성된 AI 전문커리큘럼과 다른 학제의 교과목을 연계시켜 AI ... ...
[과학게시판] GIST, 제3회 창의
융합
경진대회 탁구로봇 개발 콘테스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진행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융합
기술원 산하
융합
기술학제학부가 제3회 창의
융합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대회는 2달 동안 혁신적인 탁구로봇을 개발해 로봇끼리 대회를 진행하는 게 골자다. 27일 GIST 오룡관 다목적홀에서 최종결선에 오른 탁구로봇의 시범경기를 ... ...
열차끼리 교신해 스스로 간격 조정하는 ‘자율주행열차’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철도연 제공.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자율주행 기술과 인공지능(AI)을 열차제어기술과
융합
한 ‘열차자율주행제어시스템’ 주행시험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철도연은 지난 7월 원주 시험현장에서 실물 축소열차를 활용해 자율주행 제어를 위한 추진제동 제어기와 자율주행 차상장치의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개발했다. DGIST 제공 고통을 느끼는 인공 전자피부도 나왔다. 장재은 DGIST 정보통신
융합
전공 교수와 최지웅 교수, 심민경 연구원팀은 살아있는 동물처럼 ‘고통’을 느끼는 센서를 7월 개발했다. 연구팀과 문제일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최홍수 로봇공학전공 교수팀은 압력과 온도를 동시에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