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나중"(으)로 총 2,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자기 공예 다녀 와서 찍은 사진들 도자기를 만드는줄 알았더니 색칠만함........ 굽는포스팅 l20140316
- 도자기 공예 다녀 와서 찍은 사진들 도자기를 만드는줄 알았더니 색칠만함........ 굽는데20일걸려서 나중에 다시 찾아 오라는... ...
- 나무를 무엇으로 구별하세요? 나무 껍질이 서로 다르게 생긴것을 아시나요?기사 l20140313
- 핀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갈참나무,떡갈나무는 잎사귀를 아무리 구별하려고 애써도 서로 구별이 안되서 헷갈리고 헷갈리고...나중에는 모르겠다고 머리를 뒤흔들게 되지요? 하지만, 수피를 비교해 보면, 자신있게 구별할 수 있답니다. 3> 수피들이 독특한 나무들*물 박달 나무: 종이처럼 한장한장 벗겨져요. *칠엽수: 매끈해서 어디서든지 눈에 ...
- 거중기야 넌 누구니? 거중기와 도르래의 과학원리기사 l20140309
- 일한 만큼 돈을 주려면 얼마 만큼 일을 했는지 꼼꼼히 기록해야 했습니다. 농민과 노비들의 한글 이름이 적혀있는 기록서는 나중에 한글이름 연구에 큰 도움을 주기도 했답니다. 예를 들면 윤어떤놈, 박착한놈, 이작은놈, 김큰놈 같은 이름들이 있었습니다. 아마 거중기가 세상에 없었다면 우리의 멋진 문화재인 수원화성을 불 수 없었을 것입니다. 백성들을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영상을 합성해 얻는다. 화성 탐사 로봇에는 각각의 색마다 기준이 되는 색 표준이 들어간 장치가 있으며, 이것을 풍경과 함께 찍은 뒤 나중에 실제 색에 가깝도록 보정한다. 이것을 조작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리고 화성의 대기에는 미세 먼지가 많아 하늘이 연한 갈색으로 보인다(왼쪽) ... ...
- 사람과 사람이 가까운 세상을 꿈꾸며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유니세프에 어린이과학동아를 1년 동안 보내기로 하셨어요. 어린이들이 어린이과학동아를 통해 과학에 흥미를 갖고 열심히 공부하면 나중에 큰 일을 할 수 있을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으신대요. “과학은 참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과학자들은 다 큰 어른인데도 새로운 사실이 발견되면 신이 나서 눈빛이 반짝이잖아요. 이런 즐거움을 많은 어린이들이 함께 나누면 ...
- 나누면 나눌수록 커져요!어린이과학동아 l20080630
- ‘어린이과학동아’ 100권을 보내고 싶다고 하셨어요. “과학도 나누면 나눌수록 커졌으면 좋겠어요. 그러면 사이언스 메세나로 인해 나중에는 온 세상의 모든 아이들이 모두 건강하고 밝은 미래를 꿈꿀 수 있는 거잖아요. 그 때까지 제가 열심히 응원하겠습니다 ... ...
- 눈 깜짝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물건이 어디 있는지 궁금할 땐 고글에서 이름으로 검색해 찾아 낼 수 있는 거죠. 게다가 고글을 쓰고 보는 장면을 녹화할 수 있고 나중에 이 영상을 되돌려 보며 물건이 어디 있는지 찾아 낼 수 있다고 해요. 앞으로 이 기술은 로봇이나, 많은 자료 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찾는 일에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소제시작]소행성 아포피스를 ...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해야 공부 잘하는 나, 공부 잘하는 뇌를 만들 수 있을지 그 비법을 알아보자구! 바로 지금이 그 때! ‘나는 아직 어리니까 괜찮아. 나중에 어른이 되면 열심히 공부할래’, ‘머리는 타고 나는 거니까 아무리 노력해 봤자 소용없다구!’ 이런 생각하는 친구들 정말 많지? 저 말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해. 왜냐 하면 지능, 나이와 뇌 간의 관계가 아 ...
- 세종기지 20주년 기념 화상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담당하는 주방장님이 계십니다. 그렇게 총 17명이 함께 생활하지요. 여러분이 이런 분야 중 하나에 관심을 갖고 열심히 공부한다면 나중에 뒤를 이어 세종기지에서 연구할 수 있을 거예요. 찬 님의 말 : 근처에 다른 나라의 기지도 있나요? 서로 친하게 지내시나요? 항상 처음처럼 님의 말 : 세종기지에 주변에는 중국, 칠레, 우루과이, 러시아 등 총 ...
- 꺄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내어 통으로 떨어뜨리지요. 이런 일이 반복되면 까마귀는 동전을 떨어뜨려야 땅콩을 먹을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지요.” “그 결과 나중에는 땅콩을 먹기 위해 다른 곳에서 동전을 물어올 거라는 말씀이군요.” “바로 그거예요! 길거리에 떨어진 동전을 주워서 나는 부자가 되는 거예요. 청소도 하고 돈도 벌고! 이거야 말로 일석이조 아닌가요?” 스키너 상 ...
이전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