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성재호 입학처장은 “입학생은 4년간 전액 장학금을 받는다”며 “삼성전자 박사급
전문가
한테 실무에 필요한 최신 강의를 듣고 방학 때 삼성전자에서 인턴으로 일하며 학습내용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졸업과 동시에 삼성전자에 입사해 연구개발직에서 일할 수 있다.또 ... ...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당시 랴오닝 발굴 현장에서 있던 그가 ‘잘 모른다’고 답하더군요. 물론 ‘당신이
전문가
인데, 누가 아냐’며 답을 달라고 했죠.”숲의 공주 미크로랍토르(Microraptor)‘작은 약탈자’란 뜻의 백악기 초기 수각류. 몸길이 55~77cm. 오늘날 새의 조상으로나무와 나무 사이를 활공한다. 온몸이 다채로운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거론되고 있다. 이들에게 와이트리시티 기술을 응용하면 좋은 이유에 대해 설명하라.
전문가
클리닉1) 문제 해결의 지름길은 군인이 박자를 맞춰 행진하는 경우와 엇박자로 행진하는 경우의 차이가 무엇인지 공명현상을 바탕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그네의 예를 통해 공명현상을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하지만 특허제도로 인한 피해를 다음 세대까지 전할 뿐이다. - 이상원(서울 마포고 2학년)
전문가
클리닉 전반적으로 마리 퀴리의 입장에서 서술하라는 문제의 요구를 충분하게 고려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추체험 논술에서는 자신이 몰입한 인물의 업적을 언급하면서 주어진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라는 경고 방송이 나와 운전자가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
전문가
들은 자동차 속도가 60㎞를 넘어가면 동물을 발견하더라도 사고를 피하기 어렵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니 사고가 많은 지역에서는 일단 속도를 줄이는 것이 필수! 동물 보호 작전2현장 조사를 통해 동물이 어떻게 ... ...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다들 내 이름을 떠들어대니 지겹기도 하겠지. 어쩌면 지금쯤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전문가
들이 대한민국엔 수두룩할지도 모르겠군. 하지만 날 너무 과대포장하진 말아줘. 너무 걱정스럽게 바라보지도 않았으면 해. 내 얘기 좀 들어볼래?마음의 ‘감기’ 아니라 ‘폐렴’ 먼저 내가 누군지 ... ...
차세대 메모리 비밀 밝히는 왕박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수출액 중 DRAM 같은 디지털 기기의 저장매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30~40%에 이른다. 그런데
전문가
들은 반도체를 이용한 기존 메모리는 머지않아 집적도와 처리속도가 한계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한다. 새로운 물질을 이용한 메모리 개발이 필요하다는 뜻이다.차세대 메모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 ...
[물리]자기장 속 입자의 움직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운동은 어떻게 변하는가?3) 초기속도 v가 커질 경우 입자의 운동은 어떻게 변하는가?
전문가
클리닉1) 자기장 속에서 전하를 가진 입자가 이동하면 힘을 받습니다. 자기장 방향과 전류 방향을 알면 입자가 받는 힘의 방향과 운동 방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자기장에 의해 생기는 로렌츠 힘이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다)를 참고해 면진 설계와 제진 설계의 원리를 이끌어 내고 구체적인 방법을 추론하라.
전문가
클리닉1) 실현 가능한 방안을 구상하되 범위가 좁아서는 안 됩니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제도 개선과 의식 개혁 측면으로 나눠 기술합니다.2) 수동적으로 피하는 방법과 능동적으로 맞서는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발표됐다. 올해 노벨과학상은 각 분야에서 3명의 공동수상자를 배출했다. 분야별 국내
전문가
가 수상자들의 연구 업적과 수상 의의를 자세히 소개한다. 특히 이번에는 일본 출신의 미국 과학자 1명을 포함해 일본 과학자 4명이 수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면서 일본 열도가 흥분의 도가니에 빠졌다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