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치
설비
기구
비품
지식
기능
소양
d라이브러리
"
장비
"(으)로 총 2,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앞으로 보수 한 푼 안받고 당신의 일을 도와 줄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그는 자신이 일할
장비
를 지니고 왔다. 그는 항상 혼자서가 아니라, 자신이 앉아서 일할 책상과 당신과 의사소통할 수 있는 간단한 장치를 지니고 다닌다.당신은 그가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어떤 일이라도 시킬 권한이 있다. 그의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백만개 이상의 양산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이만한 생산라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장비
및 설비투자에 1억달러 정도가 소요되며, 세대가 높아질수록 투자규모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1G급에서는 수백억달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연구개발 투자도 설비투자 증가율을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참여해 천체의 운행원리를 자세히 설명하기도 한다.밤에 주로 활동하고 무거운
장비
를 들고 다녀야 하는지라 '많이 먹는 동아리' '억센서클'로 알려져 있지만 알고보면 폴라리스 선배들처럼 부드러운 여자들도 없다고 동아리의 막내인 노승림(독어독문학과 1년)양은 말한다."별이 움직이는 것을 보면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drift chamber)는 현재 거의 대부분의 입자물리 실험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장비
다.입자물리는 물질을 이루고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소립자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모든 과학이 마찬가지지만 입자물리는 실험과 이론의 상호보완을 통해 발전해 왔다. 특히 입자물리는 실생활에서 볼 수 없는 ... ...
핵 폐기물 경고용 '스톤헨지'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다. 그 긴 세월동안에 핵 폐기물처리장소 주변에 세워 둔 철조망이나 각종 핵노출방호
장비
가 한낱 먼지로 변해버릴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또 그 곳이 어떤 장소인지를 기억하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을 수 도 있다.바로 이 점이 스톤헨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 현대의 스톤헨지는 견고 하면서도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제품개발만으로는 상징적인 의미 이상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반도체 생산
장비
의 대부분을 일본에서 수입해오는 우리나라로서는 일본 업체들의 협조없이는 아무리 첨단제품을 개발했더라도 양산체제에 들어갈 수가 없는 실정이다.앞으로도「공동개발」가능한가마지막 남은 초점은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교보문고는 CD롬 사업을 지난 89년에 시작했지만 지난 5월 새 단장하면서 공간과
장비
를 크게 늘렸다.두번째 갈래는 컴퓨터업체들. 현재 국내에서 제작된 3종의 CD롬 타이틀은 이들이 만들었다. 삼성전자의 '다이내믹잉글리시' '액티브잉글리시' 등 영어회화학습용과 큐닉스에서 내놓은 ... ...
3. 국내 비디오텍스 현황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위한 기본준비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화상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좀더 까다로운
장비
를 갖추어야 한다.화상정보를 이용하려면 우선 컬러 VGA카드와 컬러모니터, 그리고 통신속도가 2천4백bps급 이상인 모뎀이 필요하다. 그외에도 통신용 에뮬레이터가 필요한데 이것은 통신망에 가입함으로써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움직이지 않고 정밀한 관측과 탐사를 수행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아무리 고도의
장비
를 실었어도 비행선이 흔들리면 아무런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우리나라에서는 지난 87년 기계연구소에서 8×3m 크기의 무인 비행선3대를 만들어 시험 비행한 바 있다. 이와는 별도로 경찰청(당시 치안본부)에서 8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용하여 팽창우주의 진화를 기술하려 했다. 우주론의 전개과정에는 핵물리학의 기계
장비
가 커다란 역할을 했으며, 20세기 초 아인슈타인과 막스 플랑크의 흑체복사 연구가 우주론의 이론적 작업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빅뱅 이후 우주 공간의 복사온도가 얼마인가하는 문제는 우주진화론이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