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노동
과업
근무
취직
근로
취업
d라이브러리
"
작업
"(으)로 총 3,87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있다. 에셜론의 최대 피해국인 프랑스 정부는 각종 정보를 새로운 암호코드로 바꾸는
작업
에 착수하는 한편 기업체에도 암호코드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더욱이 제 3가입국인 우리나라도 정보감청 대상에서 예외는 아니다. 캐나다 정보기관 CSE의 암호해독 요원인 제인쇼튼은 한국을 ... ...
긴급점검 사이버 교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따라 각 프로그램을 별도로 개발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최근 모든 컴퓨터에서의
작업
을 웹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되게 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거스른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서도 조만간 미국과 같이 웹기반환경에서 표준으로 일컫는 공개기술을 기반으로 된 교육시스템이 개발될 전망이다.10년 ... ...
4. 신세대 백신 등장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없다. 병균이 변신할 때마다 일일이 여기에 맞는 백신을 만들어내는 일은 결코 쉽지 않은
작업
이다.그렇다면 대안은 무엇일까. 현재 과학자들은 크게 두가지 방향으로 ‘신세대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한가지는 이전보다 더욱 안전하면서 효능이 뛰어난 새로운 형태의 백신(DNA백신)을 만들어내는 ... ...
인공생명체 탄생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30억개 정도다).사실 실험실에서 새로운 화학물질을 합성하는 일은 결코 만만치 않은
작업
이다. DNA의 경우 5각형 모양의 5탄당 한쪽 끝에 인산그룹(H2PO4), 다른쪽 끝에 염기가 붙어있다. 이 한 단위의 DNA 조각을 위아래로 서로 붙이기 위해서는 분자들 사이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알아야 한다.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만들어진다.우주복을 모두 차려 입었을 때의 무게는 약 48kg 정도여서 우주공간에서의
작업
이 제한받을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티탄섬유를 우주복 재료로 사용하려고 한다. 머지않아 훨씬 가벼운 우주복이 우주여행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유혹하며 백화점 ...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향후 로봇공학자들이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원칙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아시모프의
작업
은 'SF의 사회적 예측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아시모프의 로봇소설 중 백미는 단연 '2백살을 맞은 사나이'다. 1976년 처음 중편으로 발표된 이 소설은 이듬해 SF문학계의 최고 권위인 휴고상과 ... ...
전자상거래 시대 개척한 아마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창고의 수를 늘려가고 있다. 최첨단 시설을 갖춘 창고에서 제품을 포장하고 발송하는
작업
은 고객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창고가 늘어나면서 직원들의 숫자도 수천명 단위로 늘고 있다. 결국 물류비용과 인건비 부담이 늘어났다. 여기다 기존 서점보다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계측)와 생김새를 탐구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짧고 높은 머리가 특징하지만 이
작업
역시 만만치는 않다. 현재 한국인의 체질 특성을 바탕으로 구석기시대부터 시작해 신석기, 청동기, 철기시대에 걸쳐 발굴된 뼈화석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김새가 어땠는지를 밝혀야 한다. 또 한반도 주변에 ... ...
Ⅰ. 30억개 문자의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예정이다.하지만 인간게놈프로젝트는 막대한 비용과 노력을 요구하는 '만만치 않은'
작업
이다. 만약 생물 게놈의 길다란 DNA를 한꺼번에 죽 해독할 기술이 있다면 연구는 간단히 끝난다(세포 하나에 존재하는 DNA를 모두 연결하면 길이가 약 1.5m에 달한다).DNA 실타래 풀기그러나 현재의 기술로는 이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경우 아직 고혈압과는 거리가 먼 30대(또는 20대)로부터 DNA를 추출해 모델과 맞추어보는
작업
을 하면, 그 사람이 장차 고혈압으로 고통받게 될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를 미리 알려주어 40대쯤부터는 여러가지 예방 정책을 쓸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처럼 사전에 질병을 예측하는 진단법은 앞으로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