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쓰는사람"(으)로 총 2,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소의 잠수함 음파탐지 경쟁과학동아 l1986년 05호
- 현대의 첨단기술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또 반대로 첨단기술의 개발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바로 군사부분이다. 이중에서도 우주에서와 해저에서의 공격, 방위능력의 향상은 통신기술을 이용, 가장 빠른 진보를 보이고 있다.속칭 스타워즈가 고도의 첨단과학 기술에 의존 하는것처럼 바다속에서 ... ...
- 전자사서함 어느 하루의 온라인 한시간과학동아 l1986년 05호
- 정보화 사회에서의 생활모습은 점차로 변화해간다. 이에 따른 우리의 습관도 점차 달라는데···어느날 아침에 사무실에 출근하였다. 10시부터 회의가 있기 때문에 한시간쯤 여유를 무엇을 할까 생각하다가 미국의 어느 컴퓨터를 쓰기로 하였다. 단말기가 달린 전화기로 공중데이타 통신망 DACOM NET ... ...
- 스타워즈의 성패도 좌우하는 수퍼 컴퓨터가 도입된다과학동아 l1986년 05호
- 전세계적으로도 1백40여대 밖에 없는 초고속기계 수퍼컴퓨터. 가격만 해도 초대형 컴퓨터의 10배나 넘는 과학기술전용의 수퍼컴퓨터가 88년까지 국내에 도입된다고 한다.컴퓨터를 이용한 일기예보는 3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으,나 태풍의 진로를 예측하거나 수일 후의 날씨를 정확히 예보한다는 ... ...
- 바다밑을 정복한다 만능의 잠수로보트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사람보다 깊게 잠수하며 쉬지 않는 잠수로보트가 등자,해양공학의 신기원을 기록하고 있다무인(無人)잠수함이 등장한지는 20여년이 되지만 그렇게 쓸모가 많은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에 크게 발달한 하이테크 즉 전자, 통신, 로보트공학의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만든 '잠수로보트'는 대단히 능 ... ...
- 마이크로 칩속에서 진행되는 보이지 않는 폭격기의 개발-STEALTH과학동아 l1986년 04호
- 보이지 않는 폭격기, 즉 레이다에 잡히지 않는 비행기의 제작이 비밀 속에 진행되고 있다. 정말 만들 수 있을까?실전 경험이 있거나 전쟁이 무엇인지 웬만큼 아는 사람이라면 아군을 안보이게 할 수만 있다면 승리는 식은 죽먹기라는 것을 알 것이다. 누구라도 보이지 않는 적을 공격할 수는 없으니 ... ...
- 금수강산을 수놓는 식물들의 세계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아한대에서 난온대까지 다양하게 분포 4천여종이 넘는 식물의 부자나라다양한 한반도의 식물분포금수강산은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에서 비롯된 자랑스런 말이다. 산과 강 바위와 나무 꽃들이 마치 수를 놓은듯이 화려하다는 이 말은 결코 틀린 게 아니다. 특히 갖가지 나무와 꽃 풀이 어우 ... ...
- 생명의 기원과 진화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진화론은 고대문명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계속 이어져왔다. 주장과 반박이 되풀이 되는 동안에 진화론 그 자체도 여러가지로 달라져 왔다.인간이 우주에 도전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마무리 된 진화이론에 따른 생명의 기원과 인간의 뿌리를 간추려본다.생명의 뿌리이 세상의 최초의 생명은 대 ... ...
- 2 컴퓨터와 반도체과학동아 l1986년 04호
- 반도체 집적기술의 발달은 트럭으로 운반할 수 있었던 컴퓨터를 이제는 손바닥 위에 그것도 여러 개를 올려놓을 수 있게 하였다.3발 달린 괴물사람의 노동력을 대신하여줄 증기 기관의 발명이 제1차산업혁명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사람의 두뇌가 하는 일을 대신하여주기 위한 계산기가 처음으로 전 ... ...
- 지구촌의 사람들 인구추세, 사망률 그리고 삶의 질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사람이 너무 많은곳, 너무 적은곳…. 평균수명 40세와 80세의 나라들. 지구촌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나.인구가 아주 적거나 감소하는 몇나라를 빼고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가, 특히 개발도상국들은 열심히 가족계획을 한다. 이들 나라에서는 이것 저것 정부가 간여하지 않는것이 없지만 가족계획 ... ...
- 데이터베이스 이야기 이순신과 거북선과학동아 l1986년 03호
-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온갖 정보가 컴퓨터에 입력되어 활용될 수 있다면 우리가 절약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그것을 바라기 전에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습관이 필요하다.자료의 기지영어로는 Data Base라고 쓰기도 하고 Database라고 붙여서 쓰기도 한다. 그러니까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