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융합과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국가핵심연구
센터
(NCRC) 박영준 협의회장(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은 “융합부분 연구 과제는 지원 기간이 더 길어야 하며 후속 연구에도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융합과학은 ... ...
IT, BT, NT 넘나드는 세계적인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학사와 석사를 졸업한 후, 동대학원 재료공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KIST의과학
센터
에서 나노 바이오 융합 소재와 나노 메디슨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 ...
병문고 천하대특별반 수학도사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친구들에게 병문고 특별반 수학 선생님을 소개하라는 특명을 받고 KBS 수원
센터
를 찾았어. 드라마 촬영이 이루어지는 스튜디오 안에는 공부의 신 3, 4화 촬영 준비로 연기자와 스텝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었어. 그런데 오늘의 주인공만 안 보이는 거야. 변희봉 선생님을 찾아 한참을 헤맨 뒤 ... ...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자동차를 막으면서 구급차에게 녹색불을 켜줄 수 있다.첨단 정보 시스템자동차와 정보
센터
가 자유롭게 정보를 주고받으면 운전하는 사람은 도로 상태와 여행지 정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편안하고 빠르게 길을 찾아갈 수 있다 ... ...
보고 만지면 저절로 빠져드는 촉각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불안정하면 사용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장비에 물리적인 손상이 올 수 있다. 연구
센터
의 김영미 박사는 “시스템 사이에서 드나들거나 소모되는 에너지 차이를 분석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또 힘과 회전력을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해야 한다. 사람의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
센터
(이하 휴보
센터
)에서 개발한 휴보2는 시속 3.6km의 속도로 달린다. 100m를 달리는 데 1분 40초나 걸리지만 국내 최초의 달 ... 뛸 수 있을까. 어쩌면 휴보3는 바퀴를 달고 오토바이처럼 달릴지도 모르겠다. 휴보
센터
에서는 이미 바퀴 달린 로봇도 만들고 있다.큰그림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해양과 빙하의 상호관계에서 파생되는 현상이다.영국 국립해양과학
센터
의 해리 브리든 교수는 “지난 47년간 유럽 해안을 지나는 멕시코만류의 양이 1957년에 비해 30%나 줄었다”며 2005년 12월 ‘네이처’에 발표했다.멕시코만류는 적도의 열기를 영국과 스칸디나비아반도를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다. 이들에게는 ‘창의연구단’이라는 또 다른 이름이 있다. 국가 지정의 창의연구
센터
로서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연구 활동을 펼친다.이들의 창의적인 연구에는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연구실은 1년에 평균 10편의 논문을 써내는데, 그동안 써낸 논문이 2008년에는 약 400회, 2009년에는 약 500회가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다는 결과를 얻는 질병에 대해서 만 치료제로 승인받을 수 있다.스웨덴 룬트줄기세포
센터
올레 린드발 박사와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생명윤리과 현인수 교수 는 지난해 ‘사이언스’ 6월 26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혁신적인 치료를 받기 위해 외국을 나가는 경우와 문제가 많은 ‘줄기세포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10대 과학기술 뉴스 중 1위에 선정됐다. 나로 호는 지난 8월 25일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
센터
에서 발사된 뒤 위성보호용 덮개(페어링) 한쪽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지 않아 과학기술위성 2호를 궤도에 진입시키지 못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페어링 분리에 실패한 원인을 아직 조사 중이다. 정부는 201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