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제조
가공
형성
생산
d라이브러리
"
생성
"(으)로 총 2,694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호 만드는 기계, 암호 푸는 기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보았지만 도저히 독일군의 암호문을 알길이 없었다. 왜냐하면 에니그마는 고정된 암호를
생성
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원판의 위치를 바꿈으로서 엄청나게 다양한 암호형식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 수는 수십억이 넘었다.영국측은 에니그마의 해독을 위해서 '울트라'(Ultra)라는 계획을 비밀리에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한가지 연구의뢰가 들어왔다. 캐나다 정부에서 값싼 지르코늄(핵연료를 넣는 용기,
생성
된 중성자를 최소로 흡수하는 재료)을 만들려고 하는데 내게 한번 해보지 않겠느냐는 제안이었다. 소장이라는 직책보다는 연구경력이 우선이라 생각한 나는 63년에 캐나다의 알버트대학과 ... ...
합금을 먹고 달리는 수소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달리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라고 알려진 이산화탄소(${CO}_{2}$)를
생성
하지 않고, 연소
생성
물의 주성분이 물이므로 자연의 순환사이클을 교란시키지 않는 점 등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공기를 산화제로 사용했을 때 약간의 질소산화물(NOx)이 배출되나 이는 희박연소기술 촉매 등을 활용하면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보급이 완만하다. 소프트웨어 공장 또는 소프트웨어공학 분야 등에서 소프트웨어 자동
생성
을 위한 설계 개념언어나 도구를 연구 개발하고 있으나 아직 보편화돼 있지는 않다. 일부 상품화 된 것으로는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도구들이 있다.이처럼 설계를 위해서는 설계자 자체의 능력을 ... ...
옛 영화의 복원 노리는 전기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자동차의 특징으로는 무배기(無排氣)로 대기환경 보전에 효과적이라는 점, 전기에너지를
생성
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진동과 소음이 적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잘 알다시피 전기자동차는 배기가스가 없어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 다양한 에너지원을 ... ...
(3) 소프트웨어위기 타개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1.8'이라는 객체는 '자동차'라는 클래스의 속성과 행동에 해당된 값을 대입시킴으로써
생성
된다.그러면 객체를 모델링하는 방법은 어떠한가.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요구는 자연언어로 표현된다. 즉 요구를 '주어+동사+목적어나 보어'로서 표현하면 주어 목적어 보어가 객체가 되고, 그들의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자연의 어떤 과정으로부터 우리가 보는 광의 진폭과 위상은 아무렇게나 요동해 광을
생성
하며 혼돈스러운 마구잡이 형태로 반사한다. 운동에너지가 다른 상태로 옮아가는 충돌에 의해서나, 광자를 흡수해 여기(excited)상태로 된 원자들에 의해 광이 방출된다. 즉 원자들이 여기되면 두가지 방법으로 ... ...
우주수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대폭발직후 처음 1초후의 우주수프는 일종의 거품을 산출해 냈는데 이로부터 은하계가
생성
되었다고 발표했다. 사실 투록의 계산은 그처럼 만들어진 은하계의 크기가(현대 우주론의 가설과)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다.우주의 시작 직후 잠깐동안 밖에 존재하지 않았던 우주수프처럼 참으로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것으로 보인다. 칼젠 퍼시픽사는 꽃을 꺽었을 때 시들게 만드는 물질인 에틸렌(ethylene)의
생성
을 막는 기술도 같이 개발중이다. 걷는 TV, 말하는 TV가능성 : 50%예상실현년도 : 1993년가격 : 2천5백달러(약1백85만원)현대의 우리 사회에서는 모든 권력이 TV덕이라고 하지만, TV 그 자체는 오히려 귀찮기조차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날에는 지평선에 미처 닿기도 전에 붉은 색의 원반처럼 보이는 태양이 스러져 버린다.놀
생성
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최초의 사람이 19세기의 과학자 레일라이(Raileigh)였다. 그는 놀을 대기층에 의한 태양광의 산란(scattering) 결과로 설명했다. 태양광은 대기를 통과하며 산란되는데 이때 파장이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