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성"(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기생충에 충분히 노출되지 못해 면역계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하면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런 질환에 면역계 발달에 관여하는 장내미생물 조합인 IRT5를 투입해 면역계를 재교육시켜 증상을 완화한다는 임 교수팀의 연구는 ‘위생가설’과도 잘 부합한다. 물론 장내미생물과 ... ...
- Part1. 숨겨진 다중우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못한 편의주의적 발상이라는 비판이 있다. 여기에서 세 번째 단계의 다중우주가 태어날 가능성이 나온다. 미국의 양자물리학자 휴 에버렛 3세는 코펜하겐 해석에 반대해 ‘다세계 해석’을 내놨다. 이 해석에 따르면, 관측을 해도 파동함수는 붕괴하지 않는다. 책상 아래, 위, 5500km 상공 모두에 ...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MEarth 프로젝트가 바로 이것이다. 작고 차가운 항성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중 생명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을 찾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아리조나주에 위치한 자동화 소형 망원경들을 사용해 M-왜성을 꾸준히 추적한다. M-왜성이 갑자기 어두워지면 그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이 있다는 것이기 ...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고정식 구조물에 비해 외부 운동 에너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부서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설명했다(위 그림 참조).태평양 해중터널의 외부 위협 요인은 무엇일까. 우선 부력과 중력, 텐션렉 등 고정장치의 장력, 조류압, 파력, 쓰나미 등 해양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요인과 선박 ...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사는 생명체의 존재까지 추론한다.필요하다면 인류가 그 우주에 방문하거나, 이주할 가능성도 따져본다. 물론 만만한 작업이 아니다. ‘우주 밖’으로 가는 길은 아무도 들여다본 적 없었고, 현재로서는 찾아가볼 방법도 없다. 시인이 말한 것처럼 “아무것도 만나지 못하고, 단 한번도 확인할 수 ...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주변장(field)보다 상대적으로 값이 낮은 곳은 안정된 곳이기 때문에 모두 우주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우리 우주의 우주상수는 이 가운데 0보다 약간 큰 지점에 위치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끈이론에서 계산한 값은 대부분 음수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양수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파트 3 참조). ...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뼈와 확연히 다른 모습입니다. 호모에렉투스 때부터 큰 머리를 가진 신생아가 태어났을 가능성이 크다는 뜻입니다.인류는 큰 머리를 가지고 누군가의 도움을 받아서 태어납니다. 또 태어나는 순간부터 ‘사회’ 속에서 나고 자라납니다. 이것이 진정한 인간을 나타내는 특징이라고 볼 수 있지 ...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설계기준이 1000년에 1회 일어날 확률로 더욱 강화되고 있다. 1000년에 한번 정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극한적인 해양환경을 견딜 수 있도록 선박과 해양 플랫폼을 설계해야 한다.1000년에 한번 만날 확률은 (평균 해양파 주기)/3.1536×1010과 같이 표현된다. 3.1536×1010는 1000년×365일×24시간×3600초를 ... ...
- Part3. 비판과 한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어디로 갔는가랜드스케이프 다중우주의 강점은 다양한 우주상수를 지닌 우주를 찾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끈이론을 통해 여분차원의 다양한 조건을 계산하면 다양한 진공에너지 밀도(우주상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얻은 우주상수들 중에 우리우주와 같은 우주상수도 ...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이런 재앙에서 살아남았다고 해도 대기의 낮은 산소 농도를 견디지 못하고 멸종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산소 농도가 지금보다 낮았던 시기도 있었다고 하니 거대 곤충이 덩치를 유지하기 어려웠을 겁니다. [뉴질랜드에서 사는 자이언트 웨타는 지구에서 가장 무거운 곤충의 하나다. ... ...
이전227228229230231232233234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