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2,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01
그것은 김정호의 '대동지지'(大東地誌)의 기록과 일치한다. 그리고 서문으로 미루어
중국
의 지리책인 '직방외기'(職方外記)와 '곤여도설'(坤輿圖說)도 참고했을 것으로 추측된다.이처럼 여지전도는 그 당시의 서유럽과 동아시아의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그것을 서양식으로 그리지 않고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01
연구재단"을 설립하여 그 나름대로의 기술적 꿈을 현실화시키고 있다.예를 들어,
중국
으로부터 유럽에 이르는 실크로드는 과거 비단과 기타 극동지역의 산물을 서쪽으로 운송하는 통로역할을 했다.(터키인들이 이 실크로드를 막았던 것은 결국 유럽인들이 아프리카를 순항하고 아메리카대륙을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12
수학의 역사는 매우 오래됐다. 자주 등장하는 마방진(magic square)같은 것은 고대
중국
에서 기원됐으며, 유명한 역사가인 요세푸스(A.D. 37~100)에 관련된 얘기도 레크리에이션 수학의 일종.요타파타가 로마에 포위됐을 때 요세푸스는 40명과 같이 동굴에 숨었는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살아 남았다 ... ...
음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12
주역을 손에 놓지 않았다. 주역은 순한문으로 이뤄져 있고 그 해석이 난해해
중국
에서도 능통한 사람의 수가 많지 않다. 그는 주역의 원리를 컴퓨터로 쉽게 풀어볼 수 없을까 생각하다가 85년 사우디에서 귀국하자마자 직장을 그만두고 컴퓨터를 익히는데 몰두했다."주역의 음양과 팔괘 육십사괘는 ... ...
1억년전의 새화석 국내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012
오래된 새의 화석이라고 주장하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세레노는 지난 87년
중국
의 랴오닝지방에서도 비슷한 새의 화석을 발견했다. 이 참새만한 크기의 옛날새는 나무에 걸터앉아 곤충을 쪼아먹기도 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연대 측정 결과 1억3천5백만년 전의 생물로 밝혀졌다. 그는 이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12
분야입니다."PLS가속기연구소장 이동녕박사의 말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미국과
중국
의 외교는 '핑퐁외교'로 알려져 있지만 실질적인 내용은 '가속기외교'라는 것이다.그러나 최근의 상황은 조금 바뀌고 있다. 가속기 건설시 부수되는 각종 기술의 활용도가 높아졌고 '산업 전용'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12
가리켜 동양최초의 우수한 세계지도라고 평가했다. 물론 이 지도의 가장 큰 결점은
중국
과 조선을 너무 크게 그려 아시아대륙과 유럽 및 아프리카대륙 간의 균형이 잡히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이 지도는 조선 초의 학자들이 서유럽과 아프리카에 대해서도 많은 지리적 지식을 가지고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11
가스를 매장할 수 있는 퇴적암이 광범위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같은 분지에 속하는
중국
측 지역에서 이미 석유와 가스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황해에서는 군산 서쪽과 소흑산도 서쪽에 퇴적분지가 발달되어 있어 탐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이 지역에서 석유나 가스가 발견된 바는 없다 ... ...
은행 잎 속에 담긴 「비방」
과학동아
l
199011
이용하고 있다. 이런 '물불 안가리는' 성질 탓인지 일본에서는 '물을 뿜어내는 나무'로,
중국
에서는 '불을 먹는 나무'로 통하고 있다.실제로 은행나무는 어디 한 군데 버릴데가 없다. 나무의 몸체는 고급가구용 목재로 쓰인다. 소나무보다 가볍고 뒤틀리지 않으며 광택이 아름답기 때문이다. 또 은행 ... ...
21세기에 도전하는 허준의 후예
과학동아
l
199011
과목을 살펴보면 처음 3학기동안에는 교양과목과 한의학개론 의사학 의학한문 생리학
중국
어 해부학 발생학 생활학 의학통계 등이 주요과목이었다. 이런 과목을 통해서 전공에 대한 기초를 다지게 되는데, 특히 학사(學史) 공부를 통해 인간을 직접 대상으로 한 수십만년의 임상실험의 토대 위에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