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뉴스
"
가능
"(으)로 총 22,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방암 환자 전이 검사 자주 해도 생존율 높아지진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유방암 치료 후 검사 빈도가 높으면 전이를 조기에 발견할
가능
성은 높아지나 생존율 향상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고 맞춤형 추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서울대병원은 문형곤 유방내분비외과 교수와 천종호 ... ...
거울 대칭 분자로 '탈취 불가' 광통신 암호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교수는 "나노입자 기반의 가시광 통신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도청이 원천적으로 불
가능
한 통신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467-024-52358- ... ...
개인 필적 위조 가린다…움직이는 힘 분석하는 광학 촉각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설명했다.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류채영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연구원은 "로봇에 응용
가능
한 인공지능 학습 기반 센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doi.org/10.1038/s41467-024-52331-4 ... ...
폐암 치료제 '에롤로티닙', 치매 치료
가능
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상관관계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EGFR 저해제가 알츠하이머 병증 치료
가능
성이 있다는 점이 제기돼왔다. 연구팀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폐암 표적치료제이자 EGFR 저해제인 에롤로티닙이 알츠하이머 병증 조절과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는 점을 실제로 확인했다. ... ...
조울증, 뇌전증과 유전적 연관성…맞춤형 치료 길 열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영향을 미치고 있을 수 있다는 의미다. 이는 신경정신질환에 대한 개인 맞춤형 치료
가능
성도 높인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뇌전증과 조울증의 연관성을 재고해 복잡한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크게 높일 것으로 보인다“며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여 ... ...
"우주개발 국제협력 구심점·산학 협력 플랫폼 자처"…KAIST 우주연구원 개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산하 기관은 해외 기관과 공동연구를 추진할 때 이들 기관보다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
합니다. 이같은 장점을 살려 우주청을 비롯한 국내 우주기관들의 국제협력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겠습니다." 한재흥 KAIST 우주연구원장은 30일 대전 KAIST 본관에서 열린 개소 기념 간담회에서 ... ...
500원 동전 크기 '마찰 발전기'로 전구 100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하고 시스템 구축이 되면 2030년경 실용화가
가능
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팀은 "기존 마찰전기 발전소자의 한계점인 낮은 출력전류와 내구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웨어러블 기기, 사물인터넷(IoT) 기기, 자가 ... ...
시야장애 뇌졸중 환자에 '디지털 치료제' 국내 첫 처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맞춤형 알고리즘을 통한 자동화 프로그램이며 지속적인 시지각 학습 훈련을 통해 개선
가능
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아산병원을 시작으로 다른 국내 병원에서도 비비드브레인 처방이 진행될 예정이며 미국, 유럽, 아시아 등 해외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라며 ... ...
생수병에 담긴 미세플라스틱의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않은 채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은 자연적으로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 불
가능
한 만큼 노출량을 줄이기 위한 인위적인 노력이 최선의 대책이라는 것이 연구팀의 결론이다 ... ...
지진 안전지대 아닌 한반도 땅속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9
4 이상의 중규모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고 백두산, 제주도, 울릉도 등 잠재적 분화
가능
성이 있는 화산이 있다. 지질재해에 대한 국민 불안이 존재하는 만큼 연구팀은 지질재해에 선제적으로 대비·대응하기 위한 판내부 활성지구조 특성 규명에 나섰다. 유라시아판 동편 가장자리에 위치한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