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교과 성적의 ‘진짜’ 의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성적을 살펴보면, 합격자 평균은 2등급대이지만 등급 분포를 보면 4등급, 5등급 심지어 7등급까지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위 표).결국 지원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단순 등급이 비교과 요소와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얼마나 학생의 강점을 드러내는지가 중요하다. 즉, ‘이 정도 등급이면 ... ...
- Part 1. 두둥~ 거대 공기청정기 나가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로서하르더’는 2015년부터 네덜란드 로테르담, 중국 베이징, 폴란드 크라쿠프 지역에 약 7미터 높이의 대형 공기청정기 ‘스모그 프리 타워’를 설치했어요. 스모그 프리 타워는 2층 건물 정도의 높이로, 한시간당 3만㎥의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답니다. 이는 가로, 세로, 높이가 31m인 방을 가득 채울 ... ...
- [별난이름정리] 맥너겟 수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때문에, 충분히 큰 어떤 수는 이 세 수의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2, 3, 4, 5, 7, 8, 10, 11, 13, 14, 16, 17, 19, 22, 23, 25, 28, 31, 34, 37, 43을 제외하고요. 나열한 수 이외의 모든 자연수는 맥너겟 상자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는 뜻이고, 이 수를 맥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공룡이 나타났다!나는야 폭군 티라노사우루스몸길이 15미터, 키는 5미터, 몸무게 7톤 (우와!)날카로운 이빨 (30센티나 된대!)강력한 턱으로 냠냠 냠냠 먹이를 뜯어먹지♬ 거대한 공룡 티라노사우루스가 눈앞으로 다가옵니다. 마치 제가 잡아먹히는 것만 같아요. 무슨 일이냐고요? 이제는 동요도 VR, ... ...
- 수면 시간 늘리니 학업 효율 올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결과를 국제학술지 ‘슬립(SLEEP)’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등교 시간을 오전 7시 30분에서 8시 15분으로 45분 늦춘 뒤, 손목에 착용하는 수면 기록계로 혈압과 뇌파 등을 통해 운동신경 활동량을 기록하는 검사를 진행했다. 총 수면 시간, 참가자가 직접 작성한 잠자리에 드는 시간, 졸음 정도,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유전자. 유전자 발현이 왜 제대로 통제돼야 하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나누고 싶어 과학교육에 발을 담그게 됐다. 현재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던지고 싶은 사람이 나타났다. 탑처럼 높게 쌓인 고열량 ‘폭탄 버거’를 보란 듯이 7분 만에 먹어 치운 주인공이다. 독자들에게 고열량 음식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인이 직접 ‘실험 쥐’가 됐다. ‘실험하는 여자, 영혜’는 이영혜 과학동아 기자가 직접 주인공으로 ... ...
- [과학뉴스] 다이아몬드가 밝힌 맨틀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지금까지 지구 맨틀에는 물 성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번에 제7형 얼음을 발견하면서 맨틀 아래 훨씬 깊은 곳에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생겼다. 샤우너 교수는 “이번 발견으로 지구 내부의 운동을 이해하는 새로운 열쇠를 찾았다”고 밝혔다. doi:10.1126/science.aao303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속도)를 계산했다. 그 결과 꼭짓점에서는 탈출속도가 약 6.05km/s, 면의 중심에서는 약 7.47km/s였는데, 이는 현재 지구에서의 탈출속도(약 11km/s)보다 작다. 연구팀은 인공위성의 궤도를 정육면체 지구의 면과 모서리의 가운데를 잇는 선으로 가정하고 인공위성의 궤도도 계산했다. 인공위성이 처음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원자와 원자 사이의 극도로 작은 공간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의 메모리를 구상해 2016년 7월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구리 기판 위에 염소 원자를 배열한 뒤, 원자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1’, 흐르지 않으면 ‘0’으로 정보를 입력했다. 연구진은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