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수도 있지요. 로보비가 최종 목표대로 완성되면 인명 구조 작업이나 인공 수분 등에
활용
될 수 있을 거예요. 더 똑똑해질 로보비의 변신을 기대해 주세요~ ... ...
[과학뉴스] 비트코인, 모르고 사면 독(毒)된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투명하게 분산해 저장한다’는 개념이다. 이 기술은 가상화폐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활용
될 수 있다. 중간 거래자가 없기 때문에 금융 거래 수수료가 사라진다. 해외송금과 같은 비싼 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어진다. 과거 거래기록까지 모두 공개된 특성은 투명한 시장을 만들도록 도울 수 있다. 가령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질환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는 ‘인공지능(AI) 의사’외에도 의료 분야에서 로봇의
활용
은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최근 각광받는 분야는 치료를 위해 직접 몸 속으로 투입되는 미세로봇이다. 박종오 전남대 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관절치료용 미세 로봇을 개발했다.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해나갈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 김 입학팀장은 “올해는 3D프린터와 같은 첨단 장비를
활용
해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드림디자인센터를 완공했다”며 “수학과 과학을 정말 좋아하고 즐기는 친구들이 진학해 마음껏 꿈을 펼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백신 저항력을 높이면 감염 기간이 늘어날 거고요. 게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를
활용
해도 됩니다. 브라질에서 올림픽이 열리면 감염자가 접촉하는 사람 수가 늘겠죠. 때를 맞춰 항공과 선박 감염 능력을 강화하면 바이러스는 순식간에 국경을 넘습니다. 예방 접종에 남아 있는 베르누이의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지금은 수학 시간에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수업자료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활용
한 크리스마스 장식으로도 쓰이고 있다. 이처럼 합동과 대칭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주제이며 예술적 조형미와도 관련이 깊다. 도형의 합동과 대칭을 학습해 일상생활 속 디자인에도 응용하고 ... ...
[과학뉴스]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압력에 따라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분해 출력했다. 심 교수는 “재료 자체의 거친 표면을
활용
해 압력 센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02/smll.20170036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요소다. 단일 생체인증의 치명적인 단점이 정보가 유출될 경우 생체 정보를 다시는
활용
할 수 없다는 점이다. 비밀번호가 해킹으로 노출됐다면 다시 만들면 그만이지만, 내 홍채 정보가 유출됐다고 해서 홍채를 다시 만들 순 없는 노릇 아닌가. 다중생체인식 시스템은 홍채와 지문 등 여러 생체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방법을 연구 중이다. 이 가운데 실용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술은 다른 동물의 장기를
활용
하는 ‘이종(異種)장기’ 분야다. 최근에는 인간의 세포를 배양해 원하는 장기를 키워내는 ‘세포 기반 인공장기’ 기술도 진전을 보이고 있어 점차 실용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가장 가능성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공간을 리튬이
활용
할 수 없어 저장 용량이 작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10년간 이 방법을
활용
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20% 가량 향상됐다. 최 교수는 “이만큼 올리기도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기존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가 선택한 방식은 리튬이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