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대
모던
국립현대미술관
국립
미술관
현시대
현대사회
d라이브러리
"
현대
"(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베일에 싸여있다. 수천년을 두고도 해명되지 않는 숫자의 신비와 배열의 오묘함을 이제
현대
수학이 한번 해명해야할 때가 된 것 같다.쉽게 만들어보는 마방진① 홀수 차수 방진 - 대각선법만들고자 차수의 방진을 그리고 그 외부에 한 칸씩을 더 그린다. 맨 윗줄 중앙 칸을 1로부터 시작해 대각선으로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엄청난 에너지 위에서 건설된 것이다. 그 에너지란 바로 전력. 그래서 전력이 없는
현대
문명은 생각할 수 없다. 그런데 세계 전력 생산의 3분의 2를 화석연료를 태우는 화력발전소에서 만들어내고 있다. 나머지는 수력발전이 약 20%, 원자력 발전이 약 17%, 지력 발전이 1% 미만을 담당하고 있다. ... ...
인간을 빼닮은 컴퓨터 속의 생명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휴먼게놈프로젝트를 성공리에 마쳐도 그 흔한 감기 하나 못고치는게 현실이다” 라며
현대
과학기술의 한계를 단적으로 지적한다. 수많은 생물학자가 배출되고, 그들의 연구 분야가 끊없이 깊어지는 만큼 과학이 다루는 시야 역시 한없이 좁아져 갔다. 이런 탓에 세포에 대한 분자수준의 연구는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28수의 별자리이야기를 그리고자 했을 것이다. 그런데 왜 그들이 만든 불탑의 배치가
현대
의 서양 성도를 닮아야 하겠는가.밝은 별은 중요하다?3원 28수를 위주로 한 전통 천문관념에서는 밝은 별이라고 해서 중요한 것은 아니다. 동양에서는 사냥꾼에 쫓기는 하찮은 이리로 여겨졌던 천랑성(서양의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만들어냈다. 두번째 레이저 발진장치는 벨연구소의 알리 제이반 등이 완성했다. 마침내
현대
문명을 일굴 레이저가 세상에 얼굴을 내민 것이다.타운스 이후 레이저는 여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런던대학의 데니스 가보 (1900-1979)는 레이저광을 이용한 홀로그래피를 발명해 1971년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뷔름 빙기의 중기에는 네안데르탈인이 살았다. 뷔름 빙기의 중기에서 후기 사이에는
현대
인과 아주 흡사한 크로마뇽인이 나타났다. 뷔름 빙기가 끝날 무렵 인류의 구석기시대도 마감했다. 그리고 간빙기가 시작되자 신석기문화가 들어서면서 인류문화는 급속히 발달했다.‘인류의 시대’라고 부를 ... ...
반도체혁명 일으킨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실수는 에디슨효과가 진공관의 발명에 산파 노릇을 하리라고는 전혀 예측하지 못한 점.
현대
전자공학의 출발점인 진공관을 처음 만든 사람은 에디슨이 아닌 영국의 전기공학자 존 플레밍(1849-1945)이었다. 전류, 자기장, 도체의 운동방향을 결정하는 ‘플레밍의 법칙’으로도 유명한 플레밍은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피카소의 그림에는 4차원의 시공간을 주창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들어있다. 몬드리앙과 칸딘스키는 사물을 점, 선, 면으로 단순화하고 순수한 조형세계를 구 ... 그 위에 무엇을 그리는 장소가 아니라 하나의 물체가 된 것이다. 이게 바로 20세기 후반
현대
미술이 걸어온 길이었다 ... ...
Ⅰ. 미래 직업의 가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근대에는 과학기술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됐다는 의미가 아닐까.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도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과학기술이라는 것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와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과 전화와 라디오 TV 등의 통신수단의 발달은 거리의 개념을 바꾸어 ... ...
제2의 태양계는 흔한 존재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우리 자신을 더 깊이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수많은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현대
태양계 기원론으로 제기되는 '미행성 성운설'을 점검해본다. 또한 외계행성이 어떻게 발견됐는지를 알아보고, 행성발견의 역사를 되짚어 본다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