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초
아교
접합제
식물
초본
자연초
반수
d라이브러리
"
풀
"(으)로 총 2,33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전도 에너지 저장 마치 전기 통조림 같아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약체 헬리움이 든 용기에 넣어 초전도로 만든다. 1백만 ㎾의 원자력 발전소를 5시간,
풀
가동하여 얻을수 있는 전력량을 흘러 넣을것을 가정하여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이때 바깥쪽을 향해 코일이 찢겨 나가려는 강력한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시스템 전체를 지하 1백50m의 화강암 속에 가둔다. 201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사는 희귀종이다. 4월 하순 교미하여 5월 중순 둥지를 트는데 키가 작은 관목에 가는
풀
로 튼다. 이외에도 큰부리밀화부리와 콩새는 흔한 텃새이다. 이상과 같이 한반도에서는 매우 희귀한 조류들이, 백두산지역에서는 흔히 번식하는 여름새들이거나, 텃새들이다. 백두산지역은 매우 흥미로운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풍경을 상징하는것은 적막한 대삼림과 신비로운 호수. 그리고 양떼가 한가로이
풀
을 뜯고있는 목장이다.이 나라에서는 수목생육이 유달리 빠른 것 같다. 원시림에는 거목이 밀생해있는데 그 과밀함은 놀라울만하다. 연간을 통한 강우가 한결같고 온화한 기후조건 때문이다. 그리고 수령이 ... ...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진상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있다. 영국의 웨일즈, 스코틀랜드, 컴브리나지방의 목축업자들은 가축들이 오염된
풀
을 먹었기 때문에 출하를 금지당하자 입은 손해를 배상하라고 요구 하고 나섰다. 영국 외무성은 이들을 대신하여 소련을 상대로 국제소송을 제기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소련 당국의 믿을 수 없는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17종이 채집되었다. 빙어 잉어 몰개 참마자 중고기 강준치 큰납지리 뱀장어 동사리
풀
망둑 꺽정이의 11종은 앞의 지점에서는 채집하지 못한 종들이다. 그 당시 서울의 한강은 이보다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지는 못했을 것이다. 돌이켜 보면 한강의 역사는 어류에게는 수난의 역사였고 1977∼7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야생화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실감할 수 있읍니다. 또 산의 나무에는 꽃이 피지만 꽃피는
풀
은 많이 줄었지요. 이것은 꽃가루를 매개해주어야 할 벌같은 곤충이 산에다 마구 뿌려대는 농약에 죽어가기 때문에 생긴 현상입니다. 해충을 구제한다고 해서 헬리콥터까지 동원해 약을 뿌린 결과 ... ...
한국의 원자력 발전은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설치돼 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중앙의 원자로 깊이 15m의 투명한 붕산수 '
풀
'속에 가지런히 놓여 있는 핵연료·집합체의 주위에는 하전입자가 매질속을 광속 이상으로 방사될 때 나오는 '체렌코프의 빛'이 푸르스름한 광채를 내고 있다. 원자로와 자그마한 붕산수 '운하'로 연결된 또 하나의 '
풀
... ...
우체국에서 정보센터로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정보화사회는 '통신혁명'을 통해서 반드시 성취해야할 과제입니다."얽힌 실타래를
풀
어나가듯 논리정연하게 맥을 짚어나가면서 우리에게 이 흐름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분명히 한다.-행정전산망 사업이 곧 본궤도에 진입할 예정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의미는 무엇입니까?"행정전산망의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나는 특산식물로 낮에는 향기를 못느끼나 밤이 되면 강렬한 향기를 맡을 수 있다.
풀
전체가 우리나라의 산에 나는 백리향과 비슷하나 잎과 꽃이 큰 점이 다르다.울릉도에서 흔히 눈에 띄는 특산식물로는 섬말나리와 섬바디가 대표적이다. 이중 섬말나리는 울릉도와 일본의 북해도에만 나는 ... ...
한국의 자동차공업기술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대부분 대형인데, 이를 우리의 소형 승용차와 직접 비교한 데서 비롯됐을 것이라는
풀
이다. 일반적으로 차가 클수록 안전도가 높아지는데, 국내에서 중형차급을 받는 스텔라급도 외국에선 소형에 속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심지어는 국내용과 수출용의 차체 철판 두께가 다르지 않느냐는 의심도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