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算學啓蒙)’ 등 많은 산서(算書)를 도입해 조선 수학 발전의 기반을 닦았다.조선
전기
의 수학은 국가 기관을 중심으로 실용적 목적으로 사용됐다. 또한 유교적 사상의 지배를 받은 까닭에 형이상학적 수리사상이 존재했다. 하지만 수학이 관청에 소속된 중인(中人) 계급 산학자들에 의해 독점되면서 ... ...
“뇌파로 강아지와 대화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BMI)을 이용해 애완동물과 직접 대화를 나눌 수도 있습니다. BMI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로 컴퓨터나 기계를 작동시키는 기술이죠.강아지도 말은 못해도 사람이 어떤 질문을 하면 그에 따른 특정한 뇌파를 내보냅니다. BMI로 이 뇌파를 인식한 뒤 컴퓨터로 분석해 음성으로 만들면 강아지도 말을 ... ...
전기
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코팅해 나노전선을 만들었지요. 그리고 가운데에 있는 펩타이드를 제거해
전기
가 잘 통하는 폴리아닐린만으로 된 나노튜브도 만들었답니다.그랬군요. 그런데 김밥이면 김밥이지 왜 하필 누드 김밥이라고 불리는 건가요?잘 생각해 보세요. 일반 전선은 안쪽에 전류가 흐르고 바깥쪽은 전류가 흐르지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샤클톤 크레이터의 가장자리다. 이 곳은 해가 거의 지지 않는 곳이라 태양전지를 이용해
전기
를 생산하기 유리하며 낮과 밤의 온도 차이도 별로 없다. 또한 극지방은 다른 곳보다 얼음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물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극지방에 기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소, 암모니아 혼합물에
전기
스파크를 일으키면 아미노산이 합성됨을 증명한 1953년 미국 생화학자 스탠리 밀러의 실험은 생명의 자연발생설을 지지하는 결정적인 연구 결과로 인용돼 왔다. 아미노산은 생명 현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대표적인 분자이기 때문이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은 2 ... ...
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갖춘다면 농가에서 자체 생산한
전기
를 사용하면서 가축을 키우고 분뇨를 얻어 다시
전기
를 생산하고 액체비료를 만드는 ‘자원 순환 시스템’이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미 농림수산식품부에서도 내년쯤 농촌 지역 3군데를 선발해 SCB-M시설을 시범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한미 합작회사인 ‘한성
전기
’가 종로 네거리에 국내 최초의 가로등을 설치했다. 한성
전기
가 서울 진고개에 자리를 잡고 있던 일본 상인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벌이면서 저잣거리에도 전등이 걸리기 시작했다. 다음 해인 1901년 5월에는 진고개 일대에 600개의 전구가 설치됐다.건달불이 일상이 된 ... ...
일본, 우주태양광발전소 짓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태양광발전소 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 9월에는 경제산업성과 문부과학성이 미쓰비시
전기
, NEC, 후지쯔, 샤프 등 일본 굴지의 첨단 기업들로 구성된 ‘무인우주실험 시스템 연구개발 기구(USEF)’를 파트너로 선정했다. JAXA의 타쯔히토 후지타 씨는 “몇 년 안에 마이크로파 송전 실험에 쓰일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바꾼다. 그런 다음 이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는 따로 포획하고 수소만을 뽑아 터빈을 돌려
전기
를 생산한다. 이 기술은 미국과 중국의 발전소에 적용될 예정이다.석탄을 태우는 중에도 이산화탄소를 붙잡을 수 있다. 그러려면 공기 대신 순수한 산소로만 연소시켜야 한다. 문제는 순수한 산소를 ... ...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냈다면, 로봇 분야에서도 아이디어가 계속 쏟아지고 있다. 최근 스마트 재료를 연구하며
전기
가 통하거나 자유롭게 변형되는 재료들로 로봇을 만드는 과제를 진행 중이다.“유동적인 신소재로 만드는 초소형 로봇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체내의 막힌 혈관을 뚫는다든지, 재난 현장에서 구조하는 데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