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필요할 때 원래의 구면파와 합쳐 물체를 3차원 입체로 다시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이론
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빛을 저장하는 일이 말처럼 쉽지 않다. 현재까지 나온 방법 중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액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홀로그램의 간섭무늬를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로 촬영한 뒤, ... ...
7차 방정식의 해법, 140년 만에 풀렸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움직임을 모형화하는 데 널리 사용됐습니다.연구팀을 이끈 필립 그레스만 교수는 “
이론
적으로 방정식의 해가 존재한다고 알고 있었지만 자그만 실수로 실패를 거듭했다”며 “자연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해법이 절실한 순간에야 출구를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7차 방정식의 해법이 ... ...
효소에서 미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해하게 되면서, 이제는 효소를 직접 설계하기에 이른 것.그럼에도 아직까지 효소를
이론
적으로 연구하는 일은 흔치 않다. 그만큼 어려운 분야란 뜻이다. 유 교수의 연구실은 성능 좋은 슈퍼 효소를 만드는 연구를 20년간 해오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한다. 박사과정 연구원 5명을 포함한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사라졌다.이번 결과에 대해 독일 GSI 헬름홀츠센터의 지그루트 호프만 박사는 “원자핵
이론
에 따르면 원자번호 114번을 중심으로 원자핵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안정성 섬’이 있다”며 “이번 원소도 안정성 섬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JINR의 유리 오가네시안 소장은 “다음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증명하는 식이다. 이 교수는 “광집게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1970년에
이론
적으로 처음 발표됐고 1997년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정도로 인정받은 연구”라며 “앞으로 생물학이나 의학 같이 미시세계를 다루는 분야에서 훌륭한 연구 성과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반도체 소자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진학하고 싶었다. 그러던 중 전기공학부 연구실 중에서 첨단 반도체 소자를 다루면서도
이론
적인 연구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연구실이 있음을 알게 됐다. 그곳이 바로 필자가 진학하게 된 물리전자연구실이다.반도체 소자를 직접 제작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엄청난 자금과 오랜 시일이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실험실에서 입증됐다. 하지만 양-밀스
이론
은 수학적으로 완성되지 않았다. 양-밀스
이론
을 수학적으로 완성하는 것이 바로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4. 내비어-스톡스 방정식내비어-스톡스 방정식은 배의 주위를 흐르는 물이나 비행기의 날개 옆으로 흐르는 공기의 움직임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때 서로 붙어 있는 조각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한다고 해도 4가지 색이면 충분하다는
이론
이다. 19세기 중반 영국의 수학자 프랜시스 구드리는 영국의 지도를 색으로 구분해 칠하다가 4가지 색만 있으면 모든 부분을 구별해서 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그 어떤 경우에도 4가지 색이면 ... ...
대한수학회상 교육상·논문상 수상자 발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지난 4월 24일 대한수학회는 올해의 대한수학회상 수상자로 교육상 부분에 카이스트 김홍오 교수와 충남대학교 전길웅 교수, 그리고 논문상 부분에 인 ... 논문상을 수상한 송용진 교수는 대수학의 군에 관한 연구를, 엄상일 교수는 그래프
이론
과 관련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 받았습니다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상자를 배출했다. 최초의 수상자는 메이저를 개발한 찰스 타운스와 메이저에 대한
이론
을 먼저 정립했던 니콜라이 바소프, 알렉산더 프로호로프이다. 타운스는 메이저와 레이저의 선도적 연구에 대해, 구소련의 학자 두 명은 1954년에 발표한 유도방출에 의한 광증폭의 아이디어와 암모니아 분자를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