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d라이브러리
"
이론
"(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올해 재도전을 하는 것. “영재센터에서는 어떤 걸 배우니? 활동은 재미있니?” “네.
이론
적인 강의를 듣고, 그에 대한 실험을 해요. 그런 탐구활동이 재미있고 도움도 많이 되는 것 같아요.” “책은 어떤 책을 읽었니? 독서기록장에 기록이 남아 있니?” O학생은 원자물리학을 공부하고 싶은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필요할 때 원래의 구면파와 합쳐 물체를 3차원 입체로 다시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이론
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빛을 저장하는 일이 말처럼 쉽지 않다. 현재까지 나온 방법 중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액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홀로그램의 간섭무늬를 해상도가 높은 카메라로 촬영한 뒤, ... ...
효소에서 미래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해하게 되면서, 이제는 효소를 직접 설계하기에 이른 것.그럼에도 아직까지 효소를
이론
적으로 연구하는 일은 흔치 않다. 그만큼 어려운 분야란 뜻이다. 유 교수의 연구실은 성능 좋은 슈퍼 효소를 만드는 연구를 20년간 해오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한다. 박사과정 연구원 5명을 포함한 ... ...
대한수학회상 교육상·논문상 수상자 발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지난 4월 24일 대한수학회는 올해의 대한수학회상 수상자로 교육상 부분에 카이스트 김홍오 교수와 충남대학교 전길웅 교수, 그리고 논문상 부분에 인 ... 논문상을 수상한 송용진 교수는 대수학의 군에 관한 연구를, 엄상일 교수는 그래프
이론
과 관련된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 받았습니다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론
을 이용해 쉽게 그릴 수 있고 인터넷망, 전화 통신망, 은행 전산망 등에도 그래프
이론
이 활용되기 때문이에요.오일러 회로나 경로를 따르는 한붓그리기 한붓그리기를 활용하면 길을 잃지도 않을뿐더러 왔던 길을 다시 가지 않아 효율적이다. 하지만 언제나 한붓그리기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 ...
미로대회 우승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마우스는 미로를 스스로 탐색해 길을 찾는 소형 로봇입니다.노버트 위너 박사가 연구한
이론
을 그대로 따라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만 움직이며 길을 찾아 냅니다. 처음 가는 길은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반복해서 길을 가면 길 찾는 속도가 빨라지지요.참, 갑자기 생각났는데요. 컴퓨터 게임에서도 ... ...
반도체 소자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진학하고 싶었다. 그러던 중 전기공학부 연구실 중에서 첨단 반도체 소자를 다루면서도
이론
적인 연구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연구실이 있음을 알게 됐다. 그곳이 바로 필자가 진학하게 된 물리전자연구실이다.반도체 소자를 직접 제작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엄청난 자금과 오랜 시일이 ... ...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TV 등 모든 기계에 쓰인답니다.마리 엔느몽 카미유 조르당프랑스의 수학자 조르당은 군
이론
에 큰 업적을 남겼다. 집합의 임의의 원소 사이에 덧셈이나 곱셈과 같은 어떤 연산이 이루어졌을 때 그 결과가 다시 이 집합에 속하면 수학에서는 이 집합을 군이라고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밀레니엄 문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실험실에서 입증됐다. 하지만 양-밀스
이론
은 수학적으로 완성되지 않았다. 양-밀스
이론
을 수학적으로 완성하는 것이 바로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4. 내비어-스톡스 방정식내비어-스톡스 방정식은 배의 주위를 흐르는 물이나 비행기의 날개 옆으로 흐르는 공기의 움직임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때 서로 붙어 있는 조각을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한다고 해도 4가지 색이면 충분하다는
이론
이다. 19세기 중반 영국의 수학자 프랜시스 구드리는 영국의 지도를 색으로 구분해 칠하다가 4가지 색만 있으면 모든 부분을 구별해서 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그 어떤 경우에도 4가지 색이면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