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음식을 먹으면서 과일까지 다이어트 식품이라고 마음껏 먹은 것이 실수였다. 그제서야 다
본
이는 깨달았다. 과당도 당이다.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그러나 입자빔 무기는 이론적으로 방어가 매우 어려운만큼 미래 전쟁의 패러다임을 근
본
적으로 바꿀 정도여서 우리도 장기적으로 관련 기술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이유는 물체에 부딪친 빛(가시광선)이 반사돼 눈의 망막까지 도달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빛이 대상 ... ...
제3회 국립과천과학관 국제SF영상축제(GISF)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볼 수 있다.게다가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태국의 슈퍼히어로 영화 ‘레드이글’, 일
본
의 ‘로보-G’ 등 다양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다. 영화에서 영웅이 하늘을 날고 고층건물을 누비는 특수효과는 어떻게 만들까 궁금하다면 특별 체험관에서 무료로 체험할 수 있다. 우주공간에서 ... ...
응답하라! 수포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1, 2 학년의 개념서부터 공부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 얘기를 들으면 많은 학생들이 ‘
본
학년 교과공부하기에도 시간이 부족한데’하고 걱정하지만 초등학교 때 성적이 바닥이었던 학생도 중학생이 된 후 초등학교 책을 보면, 훨씬 빠른 속도로 내용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시간걱정은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바꾸면 ‘거북배’라고 부르는 게 옳답니다.진짜 거북선은 어떤 모습일까?네? 제가
본
거북선이 장군님의 거북선이 아니라고요? 럴수 럴수 이럴수가! 그렇다면 당장 조사를 시작해야겠군요. 장군님께서 만드신 거북선은 어떤 모습이었죠?내가 만든 거북선은 탐정이 알고 있는 이 사진 속 거북선과 몇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자세히 살펴보면 하나도 같은 각도에서 바라
본
것이 없다. 피카소는 여러 각도에서 바라
본
3차원 공간을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모음으로써 4차원과 같은 새로운 차원을 구현하려고 했다. 마치 푸앵카레가 3차원 공간에 시간을 붙인 4차원 시공간을 처음으로 제시했던 것과 같다. 힐베르트도 우리가 ... ...
바닷물에서 에너지 얻는 해파리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벼룩 로봇, 사람의 걸음걸이와 손동작 등을 따라하는 휴머노이드 등은 실제 구조를
본
떠 만들었어요. 인공심장이나 인공혈관처럼 아픈 사람을 살리기 위한 생체모방기술도 있답니다.내가 바다를 정복할 수 있게 도와 주겠니?우리는 바닷물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최초의 해저로봇이에요. 해저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등장했기 때문이다.이탈리아의 물리학자 니콜라 푸그노 교수는 게코 도마뱀 발바닥을
본
뜬 접착 물질을 개발했다. 게코 도마뱀 발바닥은 이중 솜털 구조로 돼 있는데, 솜털의 끝부분이 구부러져 있다. 이 때문에 게코 도마뱀은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벽면에 잘 달라붙을 수 있다.연구팀이 개발한 ...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큐리오시티 이후에는 어떤 로봇이 우주를 누비게 될까. 아직 인간이 달 너머로 가기가 어렵다면 현실적으로 인간의 명령을 받은 로봇이 최선 ... 지켜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화성탐사 특별기획1 - 큐리오시티가
본
붉은 행성화성탐사 특별기획2 -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결과”라고 설명했다.한편 말벌은 사람 머리를 집중적으로 공격하는데 이에 대해 일
본
곤충학자인 마사토 오노 교수는 1997년 펴낸 책 ‘말벌의 과학’에서 진화론으로 설명했다. 즉 벌집을 공격할 만한 동물은 곰 같은 대형 포유류밖에 없었을 것이고 말벌이 강력한 독침을 갖게 진화한 것도 이런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