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걸프전 환경영향 진상 밝히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페르시아만 지역의 환경오염이 생각했던 것보다 심각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바
로 그시간 미국 정부는 이 지역의 환경오염이 그리 심각하지 않다고 국민들 앞에 공식발표했다.NOAA의 국장인 존 크나우스는 백악관의 함구 지시가 "상상이상으로 강력한 것"이라고 밝혔다. 페르시아만 지역의 ... ...
문자다중방송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혜택을 주어 국민들이 싼 가격으로 새로운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게끔 유인한데 힘입은
바
크다. 영국 독일 등은 가전사에 수상기 중 일정비율을 문자방송용으로 생산하게 하고 각종 세제혜택을 주었다. 우리나라도 수상기 생산에 세제혜택을 준다면 시청자부담이 5만원정도에서 그칠 수 있다고 ... ...
남극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빙하기 이래로 홀로 떨어진 변방의 얼음대륙. 그러나 이제는 세계각국의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오로라와 빙하의 나라 남극은 그 면적이 한반도의 60여배 정도로 1천6백 ...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자라나는 동량들은 이 미지의 대륙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주기
바
란다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누구를 겁준다거나 해치는 일은 없다. 텔레비전을 끄면 소리없이 사라지는 이들은
바
로 화면상에 때로는 희미하게 때로는 또렷이 겹쳐서 나타나 시청을 방해하는 겹상(像)이다. 이 겹상을 학문적으로는 영어로 고스트(ghost)라고 부르는데 유령처럼 희미하게 보인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고스트가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의 아버지가 만든 18.5인치 망원경 렌즈를 시험하고 있던 중이었다. 이 별이
바
로 시리우스 B로 알려진 백색왜성이다. 이것은 역사상 최초로 관측된 백색왜성이었다. 이것은 종종 강아지라고 불리며 밝기는 8.5등급이고 표면 온도는 주성인 시리우스 A(우리가 시리우스라고 부르는 별)와 비슷하다. ... ...
생물은 더 작아질 수도 더 커질 수도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최소의 포유동물은 쥐고, 최대의 포유동물은 지상에서는 코끼리,
바
다에선 고래인 이유에 대해서 추론해 볼 수 있는 것이다. 포유동물 중에서 제일 작은 것은 Salpingotus michaelis라 불리는 쥐인데 그 몸길이는 3.6~4.7㎝라고 한다. 포유동물이 이보다 더 작아지면, 이 동물이 먹을 수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바
꾸어 쏘게 되고 이를 받아들이는 지방에서는 UHF로 전환해서 받게 된다.UHF로
바
꾸는 이유는 서울에서 쏘아보내는 VHF 중 남은 부분과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다.한편 UHF를 보기 위해서는 VHF와는 다른 전파잡이 그물 즉 안테나를 달아야 한다. 모든 안테나에는 각각이 잡을 수 있는 최적주파수가 있는데 ... ...
특허받은 심전도 손목시계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의사이기도 한 마쓰무라박사인데 일찌기
바
이오 인공간과 인공췌장을 개발한
바
있다. 일본계 미국인인 마쓰무라 박사는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미처 손쓸 사이도 없이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에 착수했다고 한다. 실제로 미국에서만도 연간 1백50만명 이상이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정확히 맞춰낼만큼 도사들이었다. 사정을 말하고 도움을 청하면 대개는 자신들이 아는
바
를 흔쾌히 일러줘 홍씨는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조금씩 새로운 인조과일을 만들어내는 일에 속도를 더해갈 수 있었다.그렇다해도 그가 가진 밑천은 수백종의 화학약품과 금은방에서 쓰는 천평칭(天平秤) 하나. ... ...
타이탄의 대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가스형태를 유지하지만 에탄은 액체이므로 최근의 생각은 타이탄이 넓은 에탄
바
다를 갖고 있다는 쪽으로 모아지고 있다.이는 매우 흥미로운 사실인데 에탄은 천연가스와 휘발유의 중간형태쯤 되기 때문이다. 에탄은 불에 매우 잘 타며 기름처럼 에너지를 제공한다. 사실 타이탄은 태양계에서 가장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