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리 몸을 이루는 모든종류의 세포로 변할 수 있다. 하지만 배아세포를 이용하는 것은
미래
의 한 생명을 파괴하는 것이라며 반대하는 사람이 많다.이런 논란을 해결한 것이 바로 유도만능줄기세포이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로 변신할 수 있도록 피부세포의 유전자를 변형해서 만든 ... ...
'수학' 연구소 아닌 '수리과학' 연구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세계적인 국내외 석학을 초빙해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또 수리과학을 기반으로
미래
유망기술을 발굴해 정보통신(IT), 생명공학(BT), 금융 등 타 분야 연구자들과 함께하는 융복합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그는“수리연이 수리과학분야의 허브이자 세계적 연구기관(World Class Institute)으로 ...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일상생활에서 디지털기기가 차지하는 범위가 점점 더 넓고 다양해지기 때문이다.
미래
에 일어날 수많은 범죄를 잡아낼 디지털포렌식의 활약이 기대된다. [디지털포렌식은 법정의 모습도 크게 바꿀 것이다. 법정에서 디지털자료를 화면에 띄우고 공방하는 일이 일상이 될 것이다. ... ...
Intro.
미래
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0주년을 맞아 초전도의 역사와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
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현상의 신비한 본 모습이 확실히 드러날지 궁금해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
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 ...
능동적이고 똑똑한 웹 만들기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리 주변의 모든 기기들과 연결된다면 우리의 생활이 훨씬 편리해질 것입니다. 이런
미래
를 만들어갈 새로운 스타 개발자가 우리나라에서 탄생하길 기대합니다.” [EZQR, QRooQRoo 등 스마트폰용 QR코드를 이용하면 시맨틱 웹과 연구실에 대한 이상구 교수의 설명을 직접 들을 수 있다. ... ...
수소연료, 과연 대안이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미래
의 자원으로 수소연료가 급부상하고 있다. 연소 후 배기가스로 배출되는 것은 물 밖에 없는 청정연료며 바다에서 무한히 뽑아낼 수 있다. 하지만 수소연료가 과연 매력적이기만 할까? 이번 호에서는 수소연료의 양면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겠다. Q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먼저 출시한 뒤 2030년에 여객기로 상용화될 예정이다.활주로 등 공항시설도 바뀔 것
미래
에는 공항의 활주로가 더 짧아질 전망이다. 초음속 여객기를 운영하려면 지상에서 가속해 하늘로 떠오르는 것보다는 수직이착륙 기술을 도입해 둥실 떠오른 뒤 공중에서 속도를 높이는 것이 더 유리하기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하는 수준이라 상업적으로 대량생산을 하려면 1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래
의 주부들은 마트에 진열된 다양한 고기 제품을 놓고 어떤 결정을 내릴까. 지금의 고기를 대체하려고 노력하는 과학자들의 연구가 실현된다면 어떤 고기를 선택해도 친환경적이면서 영양도 풍부해 선택이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박영진 책임연구원은 “김진유 군이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깊이 공부해 온 것 같다”며 “
미래
기술에 대한 꿈을 키워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영진 책임연구원은 독일 칼스루에 공대에서 전파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래 자동차 충돌방지용 레이더를 공부했지만 한국전기연구원에 온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