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오늘의 첨단기술」강좌 개최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LAN(근거리 통신망) VAN(부가가치통신망) 시스템등 정보활용의 고도화를 위해
대형
시스템의 구축을 내용으로 하는 현대의 첨단기술동향, 정보기술의 응용분야로서 현대사회에서 가장 관심을 끌고있는 CAD(컴퓨터를 통한 설계) CAI(컴퓨터를 통한 교육) AI(인공지능) DSS(의사결정시스템)등이 주축을 ... ...
PART2 소형로보트, 디지탈테이프, AV서라운드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카 오디오 시스템에까지도 CD 플레이어가 설치되어 판매되고 있다.
대형
화면의 텔레비전 수요가 늘어나고 이 제품들의 화질이 좋게되자 고급 AV시스템을 가정에서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아져 가고 있다.또한 최근에 등장한 가정용 비디오 프로세서란 특수한 시스템은 간편하게 ... ...
한국과학기술원 이재영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자원이 빈약한 일본에서는 77년 이후 금속수소화물을 이용한 히트펌프 제작에 8개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가 추진되었으며 최근에는 상품화된 것도 있읍니다. 금속 수소화물을 이용한 조작하기 손쉬운 압축기도 개발되고 있읍니다. 기계적 압축기에 비해 제조가격이 저렴하고 저품위 에너지를 이용할 ... ...
진화과정을 증명하는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0종이 분포하나 그 반이 마다가스카르 원산이다. 그리고 머리에서 꼬리끝까지 60cm나 되는
대형
의 종류에서 불과 5cm정도의 것까지 있으며 색채가 아름다운 종류도 있다.뭍거북도 세계적으로 귀중한 종류로 다뤄지고 있다. 그러나 가장 흥미를 끄는것은 뱀이나 도마뱀으로 남미산의 아나콘다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시기에 연세대 물리과에서 콕크로프트─월튼 가속기를 건설하였으나 투자 빈곤으로
대형
으로 발전하지 못했다.그후 서울대 원자핵 공학과에서 양성자를 2MeV까지 가속할 수 있는 정전압가속기를 1978년부터 설계, 제작하여 금년에는 총 길이 12m에 3개 층에 걸쳐 설치를 완료하였다. 현재 가동중인 이 ... ...
소련의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탄생여러가지 준비단계를 거쳐 다목적형우주선 소유즈 건조와 병행하여 장기체재
대형
스테이션 샐류트가 우주개발사업의 표면에 등장했다. 소련의 우주개발 목표를 서서히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샐류트 1호기는 1971년 4월 19일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D-1 로케트에 실려 발사 되었다. 73년 ... ...
PART1 내일의 TV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제3의 TV, 포켓 액정 TV새로운 AV시대의 등장도 화면사이즈의
대형
화나 고화질화를 촉진시키는 데 공헌했다. 반면 14인치 이하의 소형이나 배터리로 동작하는 차량탑재용 TV도 퍼스널용으로서 확실히 수요를 늘리고 있다.이러한 움직임 가운데에서 제3의 TV기기라 할 수 있는 ... ...
제주도의 화산동굴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떨어져 석순같이 자라나는 것을 가리킨다. 빌레못동굴에서는 길이 77cm로 세계제1의
대형
석순이 발견되었다.□미니동굴튜브 인 튜브라고 불리우는 이 미니동굴은 동굴속 바닥에 다시 작은 동굴이나 개스공동이 발달되는 경우를 말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계 제1의 미니동굴은 소천굴에서 발견된 ... ...
스타워즈와 기술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커넥션 머신' 이라는 하드웨어도 역시 S.D.I.의 자금으로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재래식
대형
컴퓨터가 6시간에 걸쳐 해낸일을 단 3분만에 해치웠다. 이같은 새로운 컴퓨터의 등장은 민간부문에 측정할 수 없는 막대한 이익을 준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예컨대 대기와 해양의 상태를 숫자로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특히 한강생태계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그 당시는
대형
댐이나 저수지, 보 등은 구축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한강은 대체로 원형을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한강유역의 토양층은 오늘의 그것에 비하면 훨씬 두꺼웠고 비옥했을 것이므로 보수력(保水力)이 커서 가뭄과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