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과
과상 돌기
복사뼈
국
속
학부
전공
d라이브러리
"
과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독창적인 문화 깃든 제품 나와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음악 그래픽 소설의 줄거리 프로그램기술 등이 복합된 게임소프트웨어는 전형적인 두뇌산업이다. 불모지인 게임소프트웨어 수준을 세계정상권으로 끌어올릴 비책은 없 ... 간단한 대화도 할 수 있다. 깔끔한 화면처리가 특징. 386 이상에서 사용가능. 제작자는 중앙대 전산
과
2년 이재홍씨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_{e}$ ${μ}^{-}$ ${υ}_{μ}$ ${τ}^{-}$ ${υ}_{τ}$이다. 여기에 쿼크를 묶어주는 여덟가지의 글루온
과
약작용을 전달하는 세종류의 게이지 입자와 광자로서 이 세상은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이야 말로 더이상 쪼개질 수 없는 기본입자, 즉 소립자라고 믿어지며 이들의 복합으로서 우리들 주변의 꽃, ... ...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성단을 관측하고 "카스토르의 왼발 근처에 있는 매우 작은 별들의 집단. 쌍둥이 자리 뮤별
과
에타별에서 조금 떨어져 있다" 라고 기록했고 1770년의 혜성목록에는 지름이 20´(분)이라고 기록했다.웹은 "아름담고 광대한 별들의 영역, 맨눈으로는 성운처럼 보인다"라고 기록했다. 러셀은 그의 24인치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불어닥친 후 몽골은 지난 90년 공산주의를 포기했다. 최근에는 몽골 고유문자의 부활
과
더불어 칭기즈칸이란 영화가 몽고에서 처음 제작되기도 했다. 보드카나 새로 지어진 술 이름도 칭기즈칸이라 명명되기도 한다.칭기즈칸은 현재 몽골에서 개혁의 상징인 것이다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세워진 이 롤러코스터는 쌍둥이 트랙으로 유명하다. 옆 선로의 열차에 탄 사람들의 비명
과
공포에 찬 얼굴을 보게 함으로써 더 큰 공포심을 유발하는 것이 쌍둥이 트랙의 설치목적이다.영국에서는 지난 20년간 단 하나의 목제 롤러코스터도 제작되지 않았다. 1972년에 5명의 어린이가 죽음을 당한 ... ...
앵무새·구관조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떠 넣어주면 잘 받아먹는다. 이때 반죽의 정도가 먹이투여의 기술이다. 구관조는 콩
과
쌀을 볶은 다음 가루로 만든 먹이를 좋아한다. 이 가루에 삶은 계란 노른자와 담수어의 가루인 어분을 적절히 배합하고 물로 반죽한 뒤 은행알 크기로 만들어 입속에 넣어주면 구관조에게는 최고의 음식이 된다 ... ...
산양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및 강원도와 남쪽에는 경북 울진의 통고산에까지 분포됐다. 그러나 8.15 이후의 남획
과
1964~5년의 대폭설로 인해 절종의 위기에 처하게 됐다.최근 강원도 향로봉의 고진동계곡 부근 휴전선 철책 사이에서 번식한 무리가 30개체로 증식돼 타지역에서의 감소를 보충해 주고 있다. 생태계의 보전이야말로 ... ...
생산·연구현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새정부는 새로운 기술혁신 체제를 구축하고
과
학기술 개발에 활기를 불어 넣어야 한다. 정책이 현장에 바탕을 두지 않으면 기술혁신 주체와 유리돼 공허한 정책이 ... 이러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았을 경우 부처의 위상강화, 투자의 증대도 의도한 바 효
과
를 거두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
AIDS 백신
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성공했다.아직 감염되지 않은 사람에 대한 백신은 극히 초보단계의 수준(안전성
과
면역성에서)을 보여주는데 머무르고 있다. 또 동물에서도 극히 인공적이고 이상화된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방어면역 형성을 확인하는 단계에 있을 뿐이다. 따라서 엄청난 변이의 능력을 특징으로 하고, 주사가 아닌 ... ...
동물계통분류학 대이은 김훈수·김원 부자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그와 함께 같은 학교에서 유학생활을 했는데, 신경생물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같은
과
에서 강사로 강단에 서고 있다.김훈수 교수는 요즘 연세대 원주분교에 출강하며 주로 자연생태계와 환경에 대해 집필하는 것으로 여생을 보내고 있다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