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4,053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리온자리의 '말머리성운'
과학동아
l
200804
오리온자리의 암흑성운으로 검은 말머리가 우뚝 솟아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특수필터(Hα필터)를 사용해 성운의 세부를 잘 포착했다. 지난해 11월 8일 강원도 ... 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만날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중 대전 한국천문
연구원
에서 열린다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04
탑승우주인으로 최종 선정된 이소연 씨가 보낼 우주에서의 10일은 어떨까.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에서 제공한 계획표를 참고해 미리 따라가 봤다.“잘 다녀오겠습니다!”배웅을 하러 나온 수많은 사람들에게 손을 흔들어 답을 한다. 그리고 소유즈 우주선에 올라 3개의 자리 중 가장 오른쪽 자리에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04
쓰고 있다.논문의 제1저자는 현재 미국 텍사스대 의대 지후아 조우 교수로 당시 박사후
연구원
이었다. 벅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모든 사진과 데이터는 그가 만들었고 논문은 조우와 자신이 같이 썼다는 것. 이에 대해 조우 교수는 자신의 실험에는 문제가 없다고 항변하면서 자신이 실험을 ...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04
ISS는 그렇지 않다.큰 망원경으로 보면 ISS인지 아닌지 확실히 알 수 있지 않을까. 한국천문
연구원
은 2007년 2월 28일 지름 20cm급 천체망원경을 이용해 우리나라 상공을 통과하는 ISS를 촬영한 적이 있다. 저녁 7시 4분 13초부터 11~35초 간격으로 촬영했는데, 사진에 잡힌 ISS 모습은 뿌옇게 형태만 간신히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04
면모를 보이는 그에게도 미국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에서 박사후
연구원
을 지낼 때 암환자들의 편지를 받고 가슴 찡했던 시절이 있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으로 어려운 논문을 읽고, 신약개발 뉴스에 귀 기울일 그들의 얼굴이 아직도 떠오르기 때문에 조단장은 자신의 연구가 활발히 ... ...
“아찔~!”지구로 다가온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4
8000㎞까지 접근했어요. 지구와 달 사이의 1.4배 정도니 꽤 가까이 접근했던 거죠. 한국천문
연구원
에서도 제가 지나가는 모습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하더군요. 사진에서는 작은 점처럼 보이지만, 저는 가로 610m, 세로 150m로 길쭉한 형태로 꽤 크답니다.달보다 멀게 지나갔다니 다행이네요. 그런데 ... ...
고산 미스터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04
마무리 됐지만, 국가적인 계약에 의해서 이뤄지는 프로젝트인 만큼 한국항공우주
연구원
의 우주인에 대한 미흡한 관리, 감독 문제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한민국 최초 우주인 탄생!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고산 미스터리의 진실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 ...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04
67년 캘리포니아 대학원 화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스위스의 바젤 면역학 연구소 주임
연구원
, 81년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교수가 되었다86년에 전미국 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이 되었으며 면역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로 87년 노벨 생리 · 의학상을 수상했다가을 초저녁에 북쪽 하늘 높이 엷게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삼성전자 노트북 화재 사고가 발생하자 기술표준원도 3월 24일부터 1주일간 한국전기
연구원
에서 국내에 유통되는 전지를 모아 종합적인 재시험에 들어갔다. 실험결과가 나오는 4월 초면 소비자의 불안감도 어느 정도 불식될 전망이다.리튬이온전지는 한해 수요가 24억 개에 이를 정도로 인기가 높다. ... ...
part 3 천하무적 팔과 다리
과학동아
l
200804
10x10mm이므로 인조손가락 한 마디에 필요한 촉각센서는 약 100개인 셈이다.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힘측정 및 평가연구실은 힘과 온도를 감지하는 인조피부를 개발한다. 현재 제작된 센서는 사람의 피부처럼 신축성이 있으며 접촉감과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64개의 힘 센서로 이뤄진 촉각센서는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