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스페셜
"
오늘날
"(으)로 총 49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3명 中 지역발생 3명 87일만에 최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수치다. 데비 벅스 미국 백악관 코로나19 대응 조정관은 2일(현지시간) CNN에 “우리가
오늘날
보는 것은 3월, 4월과는 다르다는 것을 매우 분명히 하고 싶다”며 “이 전염병은 지금 다른 양상이며 도시와 시골 모두에 확산해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시골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이 ... ...
코로나19 확산세 한창인데 바이러스 이름 바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마지막으로 라틴어를 사용하는 안에 대해서도 비판 여론이 높다고 네이처는 전했다.
오늘날
의 과학자들은 라틴어 철자에 익숙하지 않은데 굳이 따를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ICTV의 위원장인 앤드루 데이비슨 영국 글래스고대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 안은 2년 가까이 논의됐고 ... ...
[표지로 읽는 과학]원폭투하 75년 생존한 피폭자들이 남긴 의학적 유산
동아사이언스
l
2020.07.26
건강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정량적으로 확인됐다. 히로시마 평화기념관의
오늘날
의 모습이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자폭탄 투하는 75년 전 먼 과거의 일이지만, 이 사태를 겪은 생존자와 그 자손에게는 여전히 계속 진행되고 있는 일이다. 이들이 참여한 의학과 과학 연구 역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수박과 같은 변이형이었다. 당시 이미 속이 빨간 수박을 먹었다는 말이다. 그럼에도
오늘날
우리가 익숙한, 속이 전반적으로 선명하게 빨간 수박이 등장한 건 그리 오래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수백 년 전 화가들이 남긴 수박 그림들이 증거다. 예를 들어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알베르트 ... ...
[프리미엄 리포트] 백신 개발의 뒷이야기
과학동아
l
2020.07.11
앞당겼다. 스미스에게서 분리한 바이러스는 그의 이름을 따 ‘A/WS/1933’으로 불리며,
오늘날
에도 실험에 사용된다. 또 이때부터 페럿은 인플루엔자를 비롯한 호흡기 감염병 연구를 위한 실험동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신종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따라 진행하는 파동이라고 정의했다. 전자기파 이론은 무선통신부터 레이저까지
오늘날
IT산업의 기초가 됐다. 과학동아DB 맥스웰 방정식의 등장으로 고전 전자기학이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빛이 전자기 파동이라면 파동의 매개체가 있어야 한다. 바다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중 낙인은 이제 그만
2020.07.07
브레네 브라운은 2012년 TED연설에서 수치심이 심신의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설명했다.
오늘날
사회에 만연한 비만 낙인은 특히 여성들에게 큰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있다. TED 캡쳐 불안과 수치심, 취약성 등 마음의 고통을 연구하는 심리학자 브레너 브라운은 2012년 출간한 책 ‘마음가면’에서 ... ...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07.04
이용한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는 치명적인 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다.
오늘날
연구자들이 위험한 물질을 다룰 때 사용하는 생물안전작업대(biohazard hood) 같은 장비가 당시에는 없었기 때문에 가까스로 감염을 피해가며 연구했던 기억이 있다. LCMV는 여러모로 특별한 바이러스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강미생물이 대장에 진출할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6.23
치아 상태가 오복의 하나인 장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리라. 그런데 이 속담은
오늘날
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치주염 같은 구강질환이 구강의 문제에 그치는 게 아니라 건강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관련 구강미생물이 혈관으로 들어가 전신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슈지가 질화갈륨으로 고휘도 청색LED를 만들어 이듬해 제품화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스마트폰과 전기차 시대가 열린 건 1985년 일본 아사히카세이의 요시노 아키라가 석유코크스로 음극 소재를 만들어 1991년 리튬이온배터리가 상용화됐기 때문이다. 나카무라 슈지는 2014년 노벨물리학상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