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상호관계"(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 위험과 복원력KOITA l2013.07.18
- ‘2001년 9・11테러, 2007~2008년 미국발 국제금융위기,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미국 과학자 존 캐스티는 이처럼 엄청난 파장을 끼치는 예측불가능 사건들을 ‘X이벤트’라고 부른다. X는 ‘극도의’ ‘미지의’라는 뜻으로 복잡하고 기술의존적인 사회에 닥치는 대재난을 말한다. 발생 가능성이 ... ...
- 10년 후 우리사회를 바꿔 놓을 만한 미래기술은?KOITA l2013.07.10
- 기술이 발전해 갈수록 사회를 변화시키는 영향력은 커져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가 눈여겨 볼만한 기술들을 찾아보았다. 국내외의 주요기관 및 정부부처 등에서 발표한 미래유망기술이나 분야 등을 살펴 후보들을 추려내고 이들 중 가급적 10년 이내에 기술적 실현이 가능하고 좀 더 가까이는 ... ...
- 과학벨트의 본격 추진을 위한 기능지구 활성화 논의동아사이언스 l2013.07.10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장관 최문기)는 거점·기능지구 지자체 및 관련 기관 관계자로 구성되어 운영중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협의회(이하 ‘협의회’)를 7월 10일 오후 미래부 회의실에서 개최한다. 과학벨트 특별법 제7조에 따라 구성된 동 협의회는 과학벨트 조성 및 지원사업 추진과정에 ... ...
-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 사용자 주도형 혁신의 도래KOITA l2013.07.02
- 탈 추격형 혁신을 위해서는 공급자 중심의 혁신에서 사용자 주도형 혁신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예가 리빙 랩(Living Lab)이라고 할 수 있다. 리빙 랩은 사용자들이 기술을 대하는 행동을 실시간으로 생활공간에서 파악하고 사용자들이 혁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대표 ... ...
- 탈 추격형 혁신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치와 방향성KOITA l2013.06.27
- 추격형 혁신시스템은 그동안 우리나라의 주요한 성장전략으로서 이를 통해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경쟁환경 때문에 그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탈 추격형 혁신시스템으로의 전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추격형 혁신시스템의 한계에 이르게 된 ... ...
- 미래사회 변화에 따른 기술혁신 패러다임 전환 전망 KOITA l2013.06.25
- 러시아 경제학자 콘드라티에프의 장기파동주기에 따르면 2007~2009년 금융위기로 제5차 파동이 끝나고 제6차 장기파동의 시작이 예상되고 있다. 그렇다면 제6차 장기파동을 주도할 새로운 기술혁신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본 글에서는 제6차 파동의 시작과 관련된 배경과 향후 전개방향을 전망해보 ... ...
- 미래부․방사청, 국방 무기체계 SW 국산화 본격 행보에 나서동아사이언스 l2013.06.25
- 미래창조과학부가 WBS(World Best Software) 프로젝트를 통해 지원한 실시간 운영체제(이하 RTOS*) SW가 국방용 전차 등 기동용 무기체계에 최초로 적용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 RTOS(Real Time Operating System) : 일반 PC에서 사용되는 범용 운영체제와는 달리 전차, 항공기 등 실시간 응답이 필요한 분 ... ...
- 신기술 창업의 현주소 전망과 과제 KOITA l2013.06.10
- 신기술 창업이 창조경제의 효율적인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경쟁전략, 전략위치의 결정 및 기업의 사명이 필요하다. 경쟁전략이란 기업의 사명을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일련의 의사결정 및 행동의 과정이다. 해당 기업이 직면하고 있거나 직면하리라 ... ...
- [연구실탐방] ComSto 연구실 특명! error를 줄여라!KAIST l2013.06.10
- 현대 문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지금, 과연 우리는 스마트한 시대에서 살고 있는가? 사람들에게 좀 더 효율적이고 Error 없는 선진적인 문명을 가져다 줄 수는 없을까? 인간의 끝없는 탐구심과 인체라는 최적의 메커니즘을 위해 연구하는 곳, ‘통신신호처리 알고리즘’을 다루는 ComSto 연구실을 ... ...
- 과천과학관, 중국 과학관과의 협력 기반 구축동아사이언스 l2013.05.29
- 최은철 국립과천과학관장(왼쪽)과 중국과학기술관 슈웨이 관장이 5월 26일 현지에서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립과천과학관(관장 최은철)은 북경에 있는 중국과학기술관(5월 26일, 관장 슈웨이), 북경천문관(5월28일, 관장 진쥬) 및 상하이과학기술관(5월29 ... ...
이전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