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보상"(으)로 총 2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팔 잘린 사람은 손목 잘린 아픔을 모른다2018.09.08
- 고통을 평가절하하곤 한다. 물론 자신이 얼마나 고생했는지 특별히 더 알아주고 더 보상해달라고 하는 말인 경우도 많다. 하지만 여전히 타인의 고통을 묵살할 필요는 없을텐데 왜 그러는 걸까? 학술지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실제로 ... ...
- 북미 정상 '한반도 비핵화'합의, 핵 시설 폐기 절차 어떻게?2018.06.12
- 해체하는 데 5조37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경제적 지원과 핵 폐기 보상 청구서를 감안하면 해체 비용은 약 21조 원으로 늘어난다. 해체 비용은 북한 내에 비공식 시설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된 ‘습관의 힘’에서 ‘신호(카페의 커피향) → 반복 행동(커피 주문해 마시기) → 보상(맛과 향 음미 및 각성효과)’이라는 습관 고리에 빠지면 벗어나기 힘들다고 설명한다. 일단 신호를 접하면 습관 패턴이 자동적으로 전개된다는 것이다. 수면장애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카페인과 연관성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강압은 타겟이 되는 사람의 의사와 상관 없이 ‘순종’을 조건으로, 순종했을 때에는 보상을 주지만 순종하지 않았을 때에는 나쁜 대가를 치르게 하는 힘으로 정의된다 (Raven, 1992). “네가 XX하지 않겠다면 폭력을 휘두르겠어 / 부모님이나 아이, 애완동물 등 네게 소중한 무엇무엇을 해치겠어 /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2016). 마치 맡겨둔 섹스를 찾아가는 것마냥, 힘들게 권력을 가진만큼 마음껏 (여성이라는) 보상을 누려보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누군가의 변명처럼 얼마 전까지 루저였다고 해서 성폭력을 저지르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정리하면 이렇게 1) 여성은 미스테리하고 알 수 없는 존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퍼즐, 강아지랑 공원에 가기 등이 외적 보상이나 퍼포먼스 레벨과 상관 없이 절대적 내적 보상을 주는 일들이다. 글 쓰기도, 마감이 가까워졌을 때는 그렇지 않은 경향을 보이지만, 그저 혼자만의 생각을 적기 위해 쓸 때는 누가 보든 말든 상관없이 유지되는 본질적 즐거움을 가져다준다. 2018년에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2017.04.18
-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커피를 달고 사는 건 그 쓴맛을 견뎠을 때 보상으로 얻는 카페인의 각성효과 때문이다(물론 이를 의식하지는 못한다). 물론 향기도 어느 정도 기여를 한다. 그런데 쓴맛에 민감한 유형인 경우는 커피향이나 각성 효과가 쓴맛의 거부감을 끝내 극복하지 못한다 ...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2017.03.12
- 한다(Kunstman & Maner, 2011). 좋은 학교만 가면, 좋은 직장만 얻으면 여자가 자연스럽게 '보상물'로서 따라올 거라는 사고 방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힘을 갖게 되었을 때 마치 맡겨놓은 섹스 달라는 듯이 여성들을 추행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결국 권력과 성폭력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거리가 각각 다르다. 첫 번째 그룹은 뒤영벌이 가장 멀리 있는 공을 가운데로 옮기면 보상으로 설탕물을 받는 모습을 보여줬다. 두 번째 그룹은 가장 멀리 있는 공이 저절로 가운데로 굴러가(밑에서 자석으로 조종) 설탕물이 공급되는 모습을 봤다. 세 번째 그룹에게는 가운데 공과 설탕물이 있는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2016.12.27
-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남을 도움으로써 얻는 보상(뿌듯함, 기쁨 등)은 본성에 뿌리 깊게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즉 어떤 상황에서든 남을 돕는 일은 사회적 동물인 우리 인간에게 본질적으로 행복을 높여주는 일이라는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