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스페셜
"
박테리아
"(으)로 총 2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받은 뒤 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에 가서도 노벨상수상자인 자크 모노와 함께 점심을 하며
박테리아
유전학과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화제로 삼았다고 한다. 1960년대 스탠퍼드대에 자리를 잡은 헤르첸버그는 세포를 분류하는 자동화된 장치가 필요하다고 보고 직접 만들기로 했다. 그는 엔지니어와 ... ...
[채널A] 초소형 ‘
박테리아
로봇’ 개발…암치료 새 길 열린다
채널A
l
2013.12.18
겁니다. [인터뷰: 박종오/전남대 박테리오봇융합연구단 단장] 박테리오봇의 핵심은
박테리아
가 스스로 암을 선택적으로 찾아가게 하는데, 다른 건강한 생체 세포를 상하지 않고 암에만 타격이 된다는 것... 연구진은 살모넬라균의 유전자를 조작해 독성을 100만분의 1까지 줄였습니다. 쥐 실험 결과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것. 이와 관련한 좀 더 구체적인 이론 하나가 바로 ‘기생충 가설’이다. 우리 몸에는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을 퇴치하기 위한 ‘제1형 면역계’(독감백신은 이 면역계를 활성화한다)와 맨눈에도 보이는 벌레인 기생충을 퇴치하기 위한 ‘제2형 면역계’가 있다. 그런데 기생충을 잡으라고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박테리아
질환에서 구해줄 항생제로 쓸 생각을 하지 않았고 그저
박테리아
연구에서
박테리아
성장을 조절할 때 쓰는 정도였다. 그는 페니실린을 더 연구하지 않고 다른 주제로 옮겼다. 페니실린은 발견되고 10년 뒤인 1938년, 나치를 피해 영국으로 건너온 독일의 생화학자 에른스트 체인이 천연 ... ...
박테리아
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길이라고 믿는 사고방식이 주류인 것 같다. 그러나 이런 전략에 30억 년 역사를 갖는
박테리아
가 항복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인체는 미생물들이 거주하는 생태계라는 관점이 오히려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는 출발이 아닐까. 여우가 사라지고 토끼가 들끓어 황폐해진 숲을 회복시키겠다고 ... ...
박테리아
이용한 슈퍼커패시터용 전극 합성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02
슈퍼커패시터의 축전용량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이는
박테리아
표면에 고르게 분포된 분말 입자들 사이의 미세기공 덕분에 전해질 내 이온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에너지저장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4,000번 이상의 충방전 후에도 저장효율이 95% 이상을 ... ...
[채널A] 땀 막으려다 피부 ‘비명’…데오드란트 부작용 주의
채널A
l
2013.07.14
형성합니다. 반면 데오드란트는 땀도 일부 억제하지만 냄새를 유발하는 피부 표면
박테리아
를 제거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따라서 데오드란트는 수시로 사용해도 되지만 땀 억제는 일주일에 2~3번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 구소연/피부과 전문의] 땀 억제제를 데오드란트처럼 잘못 ... ...
[채널A] 의사들, ‘나비 넥타이’ 맨 이유 들어보니…
채널A
l
2013.06.16
미국에서도 의사 40명과 경비원 10명의 넥타이를 비교한 결과 경비원에게서는 1개만 슈퍼
박테리아
에 감염된 반면 의사 넥타이는 절반이 감염된 걸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손정일 / 강북삼성병원 소화기내과 주임교수] 처음엔 없잖아 어색하긴 했지만 병원 감염 줄일 수 있어 도움 된다고 하고 ... ...
[채널A] ‘식중독’ 잡는 은나노 개발…입자 구조 바꿔 큰 효과
채널A
l
2013.06.04
합니다. 이현경 과학 전문 기잡니다. [리포트] 여름철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박테리아
인 대장균입니다. 은나노 입자를 주입한 지 15분이 지나자 대장균이 찢어지기 시작하더니 30분이 지나자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변했습니다. 은나노가 대장균을 모두 죽인 겁니다. 이 은나노는 장염의 원인인 ... ...
박테리아
와 바이러스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구형 모양임. 복합체 위에 고정된 은 나노입자가 이빨과 같은 역할을 하여 접촉하는
박테리아
를 물어뜯고, 표면의 은 나노입자와 이온이 바이러스를 흡착하여 치명적 효과를 주는 것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KIST 우경자 박사는“이번 연구를 통해 새로운 구조의 나노복합 소재를 개발해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