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스페셜
"
결과
"(으)로 총 7,1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AI로 사람의 뇌에서 '음악 본능' 찾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전환해 탄소중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2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교내 전시 공간인 오룡아트홀의 2024년 첫 초대전으로 장용림 작가의 ‘다시 꽃이 온다’를 연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 ...
[표지로 읽는 과학] 2500년 전 아마존 '고대 도시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4
조밀조밀하게 연결된 도시들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라이다(LiDAR)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도시는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광장과 큰 도로로 구성돼 있었다. 약 300제곱킬로미터(km2) 넓이에 거대 주거지역 5군데, 소규모 거주지역 10군데가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 거주 지역은 주거와 의식을 위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유전자 정보는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43만3395명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
얌나야족은 5000년 전 유라시아 평야 지대에서 북유럽으로 이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이들은 오늘날 유럽인에게서 흔한 질병인 다발성 경화증 유전자를 보유한 것이 확인됐다. 다발성 경화증은 ... ...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표면이 거칠고 구 모양의 입체 구조를 가진 물질을 정확하게 전사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테크놀로지스' 최근호 뒷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매긴 것이다. 리버풀의 공격수 다윈 누녜스가 1위로 빅찬스 미스가 무려 18개나 된다. 그
결과
기대득점이 11.1이나 되지만 실제 넣은 건 5골에 불과하다. 득점 12골로 공동 3위인 손흥민은 빅찬스 미스가 불과 3개로 까마득한 아래인 공동 47위다. 황희찬도 5개에 불과해 공동 21위다. 다만 실제 득점과 ... ...
[과기원NOW] KAIST-MIT, 양자 정보 겨울학교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주목했다. 사슬 말단부에 서로 다른 분자를 각각 연결한 이중 말단 BCP를 제작했다. 그
결과
BCP 사슬 내 말단부가 서로를 강하게 끌어당겨 고분자 꼬리들이 모두 내부로 모여들었고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배관공의 악몽’ 구조를 실제로 구현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고분자 BCP에서 맞춤형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가장 가까운 외부 은하인 마젤란은하에 존재하는 '강착원반'을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
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강착원반(accretion disk)은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가스와 먼지들이다. 별을 형성하는 가스구름이 수축하면 가운데를 중심으로 밀도가 높아지고 둘레에 있는 물질은 낙하한다. 물질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 주로 잎을 먹는 초식동물(사슴)로 나눌 수 있다. 퀴닌(quinine)으로 쓴맛 민감도를 조사한
결과
이 순서로 민감하고 식물 독에 대한 해독 능력은 이 순서로 약하다. Most delicious poison 제공 ● 해독 능력 약한 개와 고양이 동물은 먹이에 따라 육식동물, 잡식동물, 초식동물로 나뉜다. 그런데 책을 보니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면역세포를 함께 투여한 경우 암세포의 성장이 크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나노 투데이'에 2일 온라인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설립 30주년을 맞아 새 상징(UI·University Identity)를 변경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변경된 새 상징은 영문 미디어 마크다. 숫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잘 이야기한 것이 인터뷰를 자주 거절한 플로리와 체인보다 더 이름이 잘 알려지는
결과
를 낳았다. 194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3명이 발견한 페니실린은 곰팡이로부터 세균에 의한 감염병을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발견할 수 있음을 보여 준 첫 예에 해당한다. 그 후로 다양한 종류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