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뉴스
"
태양
"(으)로 총 3,76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138개 발견…지구 충돌 위험 행성 포함
동아사이언스
l
2025.02.08
계획이다. 발견된 소행성의 화학적 조성 분석을 통해 운석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태양
계 초기 형성과정에 대한 단서를 찾는 연구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 doi.org/10.1038/s41586-024-08480 ... ...
한반도 남부 관통 '양산단층' 일부, 지진과 기후 변화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과 '저어콘 우라늄-납 연대측정법'이다. OSL은 석영이나 장석 같은 광물이 마지막으로
태양
광에 노출된 이후 지층에 묻혀있는 동안 축적된 방사선 에너지를 측정해 퇴적물의 연대를 결정하는 현대적 연대측정 기술이다. 저어콘 우라늄-납 연대측정법은 규산염 광물인 저어콘 내부에 든 우라늄이 ... ...
[사이언스영상] 소행성 '베누'에서 찾은 생명체의 흔적
SEIZE
l
2025.02.06
연구원은 "베누와 같은 소행성들이 거대한 화학공장 역할을 하며 지구를 포함한
태양
계 여러 천체에 생명의 원재료를 공급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씨즈영상 자세히보기 https://www.instagram.com/reel/DFpWFaEpHHh/?igsh=MTZhMW1iYnYwOXBreQ=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고용노동부, 청년 구직자 교육 지원 업무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정월의 보름달을 관측할 수 있다. 별빛천문대에서는 갈릴레이 4대 위성을 거느린 목성과
태양
계에서 가장 높은 산 올림푸스를 가진 화성을 관측할 수 있다. 일곱 자매로 불리우는 플레이아데스 산개성단과 아기별이 탄생하고 있는 오리온 대성운도 천체망원경을 통해 직접 살펴볼 수 있다 ... ...
"양자과학기술, 실용성에만 투자 안타까워…본질 탐구 선행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회장은 축사를 통해 "양자역학은 물리학·과학을 혁신할 뿐 아니라 레이저, 트랜지스터,
태양
전지 등 새로운 기술 개발로 이어져 우리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며 "제2의 양자혁명과 함께 더 많은 기술이 등장해 사람들의 삶을 바꿀 것"이라고 전했다. IYQ의 목적은 양자역학이 지구의 미래 글로벌 ... ...
12일 정월대보름 가장 둥근 달, 서울서 밤 10시 53분에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가장 큰 보름달이 뜰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천문연은 "지구를 기준으로
태양
과 달이 정반대편에 일직선으로 위치할 때 보름달을 볼 수 있는데 타원궤도를 도는 달이 근지점을 통과할 때 달이 커 보이고 원지점을 통과할 때 작게 보인다"며 “달의 공전주기는 양력의 1년과 정확히 일치하지 ... ...
한국천문학회 "인공위성 빛공해 줄이는 정부 실천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우주항공청이 보다 실천적인 정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인공위성은
태양
빛을 반사하고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는 빛공해를 일으킨다. IAU는 인공적인 빛공해와 전파 간섭을 줄여 천문 관측을 지원하고 생태계와 인간 활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2022년 '어둡고 ... ...
"화성에 성조기 꽂겠다" 트럼프 공약에 전문가들 '회의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따르면 화성 탐사의 대표적인 난점으로는 궤도 계산이 꼽힌다. 지구와 화성의 거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약 5600만km에서 4억km까지 변화한다. 화성으로 우주선을 발사할 땐 지구에서 화성까지의 비행 시간을 고려해 최소 7개월 후 지구와 화성 간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도착 시 화성 위치를 ... ...
우주에서 얻은
태양
광 에너지 지구서 쓰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28
다른 나라의 우주
태양
광 기술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김 센터장은 "우주
태양
광 발전 연구를 먼저 시작한 국가 대부분 2040년 이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 수준에서 한국과 격차가 크지 않다"면서 "국가와 기업이 함께 투자해 기술을 선점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 ...
SMR보다 더 작은 '마이크로원자로' 온다…"극한환경에서 전력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8
보낼 수 있을 만큼 작고 가벼운 데다
태양
이 비치지 않는 밤에는 전력을 생산할 수 없는
태양
광 발전보다 안정적으로 전력을 만들 수 있다. 2018년 5월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와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용 마이크로 원자로 개발에 성공했다. 개발된 마이크로 원자로는 10킬로와트(㎾)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