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뉴스
"
이래
"(으)로 총 63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
2021.07.22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아직 자세히 모른다. 이와 관련된 논쟁은 1970년대 스티븐 호킹
이래
수십 년 동안 진행되었고 아직도 진행 중이다. 그 과정에서 블랙홀은 물론 열역학, 양자역학, 끈이론 등 물리학의 근본적인 요소들을 다시 돌아보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블랙홀은 여전히 과학자들에게 가장 ... ...
장마 17일 만에 끝 38도 폭염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모습이다. 기상청 제공 올해 여름 장마가 17일만에 끝난 것으로 분석되면서 기상 관측
이래
역대 세 번째로 짧은 장마라는 기록을 남겼다. 기상청은 20일 장마가 끝난 뒤 일주일 동안 38도가 넘는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2018년과 같은 역대급 폭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크다는 쪽으로 유도할 것이다. 여러 정황상 지난 2010년 게놈 해독으로 존재가 드러난
이래
많은 고인류학자들이 얼굴을 알고 싶어 한 데니소바인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만일 이렇게 논문 시나리오가 바뀌어 유명 학술지에 실렸다면 언론들이 ‘마침내 데니소바인의 얼굴이 드러났다!’는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이산화탄소 배출 줄었지만 여전한 지구온난화
2021.07.12
높았다. 이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 평균 기온 대비 1.25℃가량 높은 수치다. 또한 관측
이래
가장 가파른 기온 상승값을 보인 2016년(1.26℃)과도 큰 차이가 없다(그림2). 코로나19와 무관하게 지표의 기온 상승은 이미 파리기후협약 온도 억제 기준인 1.5℃에 근접해가고 있다. [그림2] 1970년부터 202 ... ...
[강석기의 과학카페]항체치료제 전성시대 열리나
2021.07.06
이다. ○36년 만에 100개 승인 1986년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처음 항체치료제를 승인한
이래
10번째 신약이 나올 때가지 15년, 50번째 신약이 나올 때까지 29년이 걸렸다. 그뒤 불과 5년 4개월 만에 50개가 추가돼 지난 4월 100번째 항체치료제가 승인됐다. 네이처 리뷰스 약물 개발 제공 이런 불리한 ... ...
20세기 휩쓴 세 번의 '팬데믹'과 '인포데믹' 역사
연합뉴스
l
2021.07.06
공포를 더욱 키우고 있다. 이런 팬데믹의 역사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인류 탄생
이래
감염병들은 걸핏하면 나타나 발광하듯 전 세계를 휩쓸곤 했다. 하지만 인류 또한 강인하고 지혜로웠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라 ... ...
주말 전국 장마 시작…150mm 이상 물폭탄 예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1
제주, 26일 중부와 남부에서 동시 시작해 9일 제주, 11일 중부에서 종료되면서 1973년 관측
이래
2번째로 짧았다. 반면 지난해는 제주에서 6월 10일에 시작해 7월 28일 끝나 49일간 이어졌고 중부는 6월 24일 시작해 8월 16일 54일 만에 끝나면서 역대 가장 긴 장마로 기록됐다. 2018년은 장마철이 일찍 끝나며 ... ...
코로나19로 배출량 줄었다는데 한반도 지난해 이산화탄소 농도 역대 '최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1
미세먼지 농도가 세제곱미터당 27마이크로그램(㎍·100만 분의 1g)으로 2004년 첫 관측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3년 이후 최댓값인 2019년 39㎍/㎥의 3분의 2 수준이다. 미세먼지 농도는 관측 이후 매년 약 1.1㎍/㎥ 씩 줄어들고 있다. 안면도 미세먼지 농도 감소는 인간 활동이 줄어들면서 대기오염물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재배 현장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2002년 벼의 게놈 초안이 해독된
이래
지금까지 100여 종의 작물이 게놈이 해독됐다. 게놈 해독 비용이 급감하고 한 번에 긴 서열을 해독할 수 있는 기술이 나온 2010년대 이후에는 주요 작물이 경우 다양한 품종이나 가까운 야생종의 게놈도 해독하면서 ... ...
GIST 발전재단·총동문회 “학교 하루빨리 정상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6.11
등 공백 사태를 겪었다. 성명서는 “광주의 자랑이자 과학기술의 요람인 GIST에서 개원
이래
빚어진 최대 혼란에 대해 큰 실망감을 감출 수가 없었다”며 “총장을 둘러싼 갈등이 빚어지면서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이 되며 기관 운영에 파행이 발생하고 대외적인 이미지도 땅에 떨어졌다”고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