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398건 검색되었습니다.
힉스 발견 LHC 3배 규모 차세대가속기 개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2070년대까지 운영하는 것이지만 CERN은 입자가속기에서 이뤄지는 연구 성과에 따라
세기
말까지 연구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차세대입자가속기 운영은 총 2단계로 계획됐다. 1단계에선 전자와 양전자를 충돌시켜 힉스 입자를 대량 생성하고 그 성질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2단계는 양성자빔을 ... ...
KAIST 졸업생들, 졸업식서 항의하다 퇴장시킨 尹 대통령에 사과 요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8
아니라는 걸 알리고 싶다"고 말했다. 민주당 예비후보인 김혜민 KAIST 전 총학생회장도 "21
세기
대한민국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앞서 지난 16일 열린 카이스트 2024년 학위수여식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이때 검은색 졸업 학위복을 입은 한 남학생이 윤 대통령이 선 ... ...
[잠깐과학]1996년 2월 10일 컴퓨터,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11
성능을 보여줄 방법 중 하나로 체스에 주목했어요. 체스를 두는 슈퍼컴퓨터는 20
세기
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해 1970년대에는 아마추어 체스 대회에서 우승할 정도로 성능이 좋아졌습니다. 이후 1989년 미국 컴퓨터 회사인 IBM은 본격적으로 체스 컴퓨터를 개발하기 시작해 ‘딥 블루’라는 ... ...
귤을 많이 담으려면…귤포장에 숨은 수학
과학동아
l
2024.02.10
어떻게 하면 구 사이 빈 틈이 가장 적도록 쌓을 수 있을까요. 이 문제는 400년 전인 16
세기
말, 영국 엘리자베스 1세 시절로 올라가는 유서깊은 수학 문제입니다. 당시 정치인이자 탐험가로 활동하던 영국의 월터 롤리 경은 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하면서 함선에 실린 대포알의 수를 파악하는 효율적인 ... ...
폼페이 화산재에 묻힌 고문서, AI가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4.02.06
두루마리의 내용을 밝히는 '베수비오 챌린지'에서 우승작으로 선정됐다. 이 대회는 18
세기
이탈리아 로마의 고급 빌라에서 발견된 '헤르쿨라네움 두루마리'에 담긴 내용을 밝히는 것이 목표다. 총 280개의 두루마리가 전해지고 있지만 전부 손상이 심해 열어볼 수가 없는 상태다. 앞서 과학자들은 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인생은 짧다. 그러나 의술은 길다”라 해야 더 옳은 번역이 될 것이다. 기원전 4~5
세기
에 신 중심의 의학을 사람 중심의 의학으로 패러다임을 바꿔 놓은 히포크라테스의 이름은 오늘날 서양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평생 한 번쯤은 그의 이름을 딴 선서를 하게 할 만큼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 ...
'지동설' 확립한 과학자들…"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03
가장 바깥에는 별들이 붙어 있는 공 껍질이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500년 후인 2
세기
로마 시대에 살던 프톨레마이오스가 이 주장을 더 깔끔하게 정리한 것이 바로 하늘이 움직인다는 뜻을 지닌 천동설입니다. 천동설을 나타낸 그림. 지구가 세상의 한가운데 있고 해와 달과 다섯 행성이 그 주위를 ... ...
[주말N수학] "찰나의 즐거움을 위한 학문?"…수학의 본질이란
수학동아
l
2024.02.03
주제로 범위를 좁혀서 수학사를 살펴보는 거예요. 예를 들면 에우클레이데스(기원전 4
세기
경)의 '원론'에 등장하는 평행선 공준에만 초점을 맞춰 보는 거지요. 에우클레이데스가 정의한 것부터 비유클리드 기하학에 이르기까지 여러 학자가 어떤 비판과 새로운 시도를 해왔는지만 살펴봐도 좋은 ... ...
국내 고병원성 조류독감 'H5N1' 변이, 인체감염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31
만들어지면 종간장벽을 넘어 인체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20
세기
3회, 21
세기
1회 팬데믹을 일으킨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인체 감염성에 대한 연구는 필수다. 연구팀은 2021년 국내에서 발생한 H5N1형 바이러스 유전자를 분석해 숙주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는 부위인 항원성 돌기 ... ...
ETRI, 데이터 폭증 해결 광원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결합 효율을 기존 50%에서 85%로 증가시켜 에너지 소모 절감을 가능하게 했다. 광출력
세기
를 모니터링하는 광검출기 단일집적을 통해 기존 별도의 광검출기 사용 구조 대비 단일 채널 광모듈은 물론 800G/1.6Tbps급 광모듈 제작에서 패키징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연구진이 이번에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