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석사논문"(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현역 검사, 그리고 디지털포렌식 전문가2015.05.15
- 올여름 서울대 수리정보과학과 1기 졸업생이 될 검사 3인방. 왼쪽부터 주민철, 이환기, 신교임 검사와 이들을 가르치는 김명환 수리과학부 교수. 이들은 “처음에 수학 수업을 들었을 때 ‘멘붕’에 빠졌었다”면서 “매주 치러지는 쪽지시험 덕분에 이제는 디지털포렌식에 필요한 웬만한 수학 개 ... ...
- 2011학번 화학과 동기 셋, ‘일’ 냈네2015.04.22
- 이은성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위원(포스텍 화학과 교수)과 박준범, 송하영, 김영석 연구원(왼쪽부터 차례대로). - 포스텍 제공 국내 대학 학부생들이 심뇌혈관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하고 화학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했다. 주인공은 포스텍 화학과 11학번 박준범, ... ...
- 한국인 첫 日 이화학연구소(RIKEN) 종신 주임연구원2015.04.10
- “1996년 서울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도쿄에 여행을 왔어요. 원래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을 생각이었는데, 도쿄 여행이 계기가 돼 도쿄대로 유학을 왔죠.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이화학연구소(RIKEN)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9일 일본 사이타마현 와코시에 위치한 이화학연구소 본원에서 한국 ... ...
- 100년째 혁명 진행 중인 초전도 기술2015.04.05
- 하늬바람에 영글다 제공 ‘1, 30, 150 ’. 하나(1)의 연구 주제를 30년 동안 연구하면서 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150편의 논문을 게재한 사람. 바로 김찬중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이야기다. 초전도 연구에 평생을 바쳐 매년 평균 5편씩의 논문을 해외 유수 학술지에 게재한 ... ...
- UNIST, 개교 6년 만에 국내 교수 배출2015.03.22
- 최효성 박사(왼쪽)와 유승민 박사. -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대(UNIST)가 개교 6년 만에 첫 국내 교수를 배출했다. UNIST는 최효성, 유승민, 이정수 박사가 국내 대학에 교수로 임용됐다고 22일 밝혔다. 최효성 박사는 한양대 화학과, 유승민 박사는 울산과학대 환경화학공업과, 이정수 박사는 조선대 ...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2015.03.09
- [동아일보] UNIST를 명문대 반열로 끌어올린 조무제 총장 “8년 전 취임사에서 ‘UNIST를 한국의 MIT(미국 매사추세츠공대)로 만들겠다’고 하자 모두가 웃었죠. 사실 저도 선언적인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정말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한국 대학이 MIT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 ...
- KAIST ‘박사 1만명 시대’ 열다동아일보 l2015.02.13
- [동아일보] 개교 44년만에… 45% 산업체 근무 1만번째 학위는 뇌연구 조선미씨 “1973년 석사, 1975년 박사과정을 개설하고 뛰어난 석학들을 교수로 초빙하면서 ‘KAIST 유학’ 시대가 열렸죠.” 1978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1호 박사 학위를 받은 이 대학 기계공학과 양동렬 교수의 회고담이다. KAIST가 ... ...
- [사이언스브리핑] 산기협 ‘2015년도 기술경영인상’ 外2015.02.10
-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선정하는 ‘2015년도 기술경영인상’의 CTO 부분 수상자로 네오뷰코오롱 송석정 대표가 선정됐다.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부문에는 맥슨씨아이씨 김원태 대표, 에스앤에스이앤지 박종선 대표와 성광창호디자인 윤준호 대표 등 3인이, 연구소장 부문에는 한국쓰리엠 김치득 ... ...
- “세계는 줄기세포 전쟁중… 미국에만도 연구팀이 1000개 이상”동아일보 l2015.01.26
- [동아일보] [허문명 기자의 사람이야기] ‘인간 체세포 복제배아줄기세포’ 세계 첫 성공 미탈리포프 교수 《2013년 5월 세계 최초로 인간 체세포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해 세계 과학계를 떠들썩하게 한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가 한국에 왔다(체세포복제배아 ...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2014.10.20
- 루크 리 미국 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루크 리(55·한국명 이평세) 미국 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는 10년 동안 직장 생활을 하다가 뒤늦게 대학원에 진학해 39세에 교수로 임용된 ‘늦깎이 연구자’다. 하지만 교수 임용 5년 만에 테뉴어(tenure·정년 보장)를 받았고, 2011년 ... ...
이전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