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뉴스
"
빔
"(으)로 총 449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분자 검출하는 나노안테나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나노 패턴을 만들어내는 나노공정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기존 전자
빔
리소그래피에서 제한됐던 해상도를 원자 수준으로 뾰족하게 만들어 ‘나비넥타이’ 모습의 나노안테나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개발한 나노안테나는 1nm 이하의 곡률을 가지는 동시에 5nm 정도의 나노갭 ... ...
서울대병원 암세포 잡는 최고 수준 중입자가속기 도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무게도 크게 줄였다. 중입자 가속기에는 환자 주변을 360도 회전하며 어느 각도에서나
빔
을 조사하는 회전 갠트리라는 기기가 포함된다. 기존 회전 갠트리는 무게가 500t에 달하는데, 계약한 회전 갠트리는 무게가 280t으로 그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중입자 가속기는 부산 기장군 암센터에 구축된다. ... ...
'한국형전투기의 눈' AESA 레이더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7
위상을 개별 제어한다. 쉽게 말해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전파를 송신해 전자식으로
빔
을 조향한다. 기존의 기계식 레이더는 감시하고자 하는 곳에 전파를 방사하기 위해 하나하나 레이더의 안테나를 기계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반면, 위상배열 레이더는 전파의 위상만을 변경해도 전파의 방향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지를 치며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빛
동아사이언스
l
2020.07.04
이렇게 빛이 가지를 치며 퍼지는 모습을 관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레이저
빔
으로 만든 빛을 얇은 비누막에 통과시킨 후 이를 실험 망원경을 이용해 관찰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빛이 가지를 치며 뻗어나가는 모습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얇은 비누막을 가지고도 빛이 ... ...
치아 법랑질의 '원자 세계', 처음 비경(秘境)을 드러내다
연합뉴스
l
2020.07.02
파헤치는 덴 약칭 STEM으로 통하는 '주사 투과 전자 현미경'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전자
빔
을 물질에 조사해 원자 구성을 알아내는 첨단 기기다. 관찰 결과, 치아 법랑질은 인간 머리카락의 1천분의 1 굵기에 불과한 장방형 결정으로 구성됐다. 촘촘한 다발 같은 이 결정의 주성분은 칼슘과 ... ...
KT샛 "무궁화위성 6A호 2024년 쏜다" 위성서비스 해양과 우주로 넓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8
발사 후에도 커버리지를 바꿀 수 있는 ‘가변
빔
’ 기술도 탑재를 고려하고 있다. 가변
빔
기술이 탑재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한국형 정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보정 시스템(KASS)’의 보조위성 기능을 할 중계기도 탑재를 고려하고 있다. KASS는 ... ...
무궁화위성 6A호 이르면 2024년 발사…위성 5G 서비스시대 연다
연합뉴스
l
2020.06.18
발사 후
빔
의 커버리지를 변경할 수 없었지만, 가변
빔
기술이 탑재되면 발사 후에도
빔
커버리지를 변경할 수 있어 고객의 커버리지 조정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KT SAT은 위성의 5G 연동 연구를 위해 하반기부터 금산위성센터 테스트베드에서 '한-EU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내년 5월에는 ... ...
우주서 중성자 평균수명 첫 측정…수십년 논쟁 종지부 찍나
연합뉴스
l
2020.06.15
특수한 병 속에 중성자를 넣고 방사성 붕괴 기간을 측정하는 병(bottle) 방법과 중성자
빔
을 쏘아 방사성 붕괴로 생기는 양성자 수를 세는
빔
(beam)방법으로 측정돼 왔는데, 각각 평균 14분39초와 14분48초를 제시해 왔다. 두 측정 방법의 차이가 9초에 불과하지만 측정 오차가 최대 2초인 점을 감안하면 ... ...
우주선(cosmic ray), 지구에서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06.01
조직과 실험쥐 등을 두고 4주간 총 약 500mGy(밀리그레이·방사선흡수선량의 단위)의 이온
빔
을 조사했다. 이는 우주비행사가 1년간 우주에 체류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 조건이다. 4주 뒤 우주선이 세포 조직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장기가 차폐벽을 통과한 GCR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 ...
늘어났다가 줄어들면서 빛 투과 조절하는 광학 필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로 활용가능하다”며 “두루마리 타입의
빔
프로젝터 스크린에 응용하는 등 폭넓은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6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실렸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