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한계
분야
테두리
경계
한도
범주
뉴스
"
범위
"(으)로 총 3,02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청, NASA와 L4 탐사 미션 개념 공동 연구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이번에 체결된 공동성명서에는 심우주 탐사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우주 개발 협력
범위
확대, 우주잔해물 저감 등 우주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협력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 L4 공동 연구를 위한 협약도 체결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지구와 태양 사이에서 중력 평형점을 ... ...
"임신 중 뇌 구조 바뀌어"…산후우울증 원인 밝힐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분석 결과 뇌의 가장 바깥쪽 층을 구성하는 주름진 부분인 회백질의 두께와 부피가 광
범위
하게 감소하고 뇌의 더 깊은 곳에 위치한 백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변화 모두 호르몬인 '소포호르몬'과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상승하면서 나타났다. 뇌의 회백질은 신경세포의 세포체가 ... ...
투명인간이 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24.09.17
밤에 관계없이 동물이나 인간 같은 열을 내는 물체를 관찰할 수 있다. 약 100nm~400nm의 파장
범위
인 자외선을 우리가 볼 수 없는 것도 이와 같은 원리다. 죽은 연인(에이드리언 그리핀)의 존재를 느끼는 여주인공은 그가 투명인간이 되어 자신의 주변에 있다고 생각했지만 아무도 믿어주지 않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AI에 설득당하는 음모론자…"음모론 믿음 2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5
2020년 미국 대선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관련 최신 음모론 등 광
범위
한
범위
에서 일관된 효과를 보였다. 효과는 최소 2개월 동안 지속됐다. 챗봇이 제기한 주장 128개에 대해 전문가가 팩트 체크한 결과 99.2%가 사실이고 0.8%는 오해의 소지가 있으며 거짓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
DNA가닥 빛으로 구부리고 옮긴다…새 유전자 교정 기술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24.09.11
존재하는 액체 성분이 둥글게 뭉쳐 생성된 이 물방울은 4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범위
의 파장을 가진 청색광에 노출되면 더 커지는 특성이 있다. DNA의 정확한 부위의 물방울을 부착한 뒤 물방울의 크기를 줄이거나 키우는 방법으로 DNA의 위치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 연구팀은 실험을 ... ...
생명 활동에 중요한 '세포 엑소시스트' 원리, 단분자 수준에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Sso1, Sec9, Snc2이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과정과 소포와 세포막의 막 융합 과정까지 광
범위
하게 관여하며 작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NARE는 소포가 세포막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막 융합이 일어나도록 돕는 단백질들을 말한다. 엑소시스트는 Sso1의 구조를 변화해 활성화하고 Sec9와 결합하도록 유도해 ... ...
우주기업 상장 러시…"아직 일러" vs "더 활발해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9.09
IPO 절차에 돌입한 상태다. 지난달 16일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공개된 공모가 희망
범위
는 1만6500∼2만500원이다. 자체 개발한 초고해상도 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루미르X(LumirX)’ 발사 등에 상장으로 확보한 자금을 활용한다는 목표다. 문제는 우주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평가가 ... ...
체질량지수 용도폐기?…전문가들 "둥글기 지수를 건강지표로 활용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9.08
유발할 수 있다. 마른 사람이 복부에만 살이 찌면 체질량지수 기준으로는 정상
범위
에 머물 수 있기 때문에 건강 관리에 소홀해질 수 있다. 체질량지수는 건강을 제때 관리하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침묵의 살인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건강 지표가 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 ...
서울 첫 '말라리아 경보…원인은 기후변화·북한 영향?
과학동아
l
2024.09.07
기후변화로 아프리카에서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얼룩날개모기속(Anopheles) 모기의 서식
범위
가 매년 4.7km씩 더 고위도로 넓어졌습니다. 기후변화 탓에 고위도의 날씨가 온화해져 말라리아 매개 모기가 퍼지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doi: 10.1098/rsbl.2022.0365) 기후변화와 말라리아 사이의 연관관계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계 최고 정밀 '핵시계' 한 발 더 가까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07
진공 자외선 레이저를 맞춤 설계했다. 토륨-299핵은 이 레이저 광원이 도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고유한 저에너지 핵 전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핵시계 구축에 활용됐다. 실제로 연구팀은 진공 자외선을 통해 토륨-299핵이 들뜨게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원자핵 양자 상태 간 전이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