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질
뉴스
"
몸바탕
"(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체스 대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게임은 첫 게임과 마지막 게임이다. - 시드니 브레너와 J.D. 버널 그(로널드 코놉카)는 지도교수인 시모어 벤저와 함께 일주리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논문(1971년 ‘미국립과학원회보’ 68권 2112쪽)을 발표했다. 이 분야는 이어지는 45년의 많은 부분을 이 로제타석 ... ...
어떤 장내 미생물이 몸에서 빨리 변이를 일으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08
표지로 읽는 과학 - 네이처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인간의 구강 내 세균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뒤 색을 입힌 모습이 담겼다. 2012년부터 시작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의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우리 몸에 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예전에는 추석을 앞두고 뉴스에서 벌초나 성묘를 할 때 말벌을 조심하라고 당부했던 것 같은데 며칠 전 TV에서 본 뉴스에서는 말벌 대신 진드기를 언급했다. 그 자체로만 보면 진드기는 말벌에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그저 성가신 존재일 뿐이지만 진드기가 옮기는 바이러스 때문이다. 이 바이러 ... ...
[ESC의 목소리 (18ㆍ마지막회)] 한국 이공계 대학원의 선진화를 위해
2017.08.27
구본경(케임브리지 줄기세포연구소 그룹리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유전학과 소속) 김명호 작가 제공 ● 대한민국 과학기술계 선진화의 길목에서 가파르게 성장해 온 한국 과학기술계에서 선진화를 향한 움직임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양적 성장을 탈피하고 질적인 성장을 ... ...
[카드뉴스] 선홍빛 자태의 특별한 맛 참돔
동아사이언스
l
2017.08.22
조선시대 말엽인 1809년 빙허각 이 씨가 엮은 규합총서에는 각종 채소와 고명을 얹은 도미찜을 승기악탕(勝妓樂湯)이라 불렀습니다. 도미찜의 맛이 기생보다 낫다는 뜻이지요. 일본에는 ‘썩어도 도미’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썩어도 준치’라는 속담과 같게 쓰입니다. 도미가 얼마나 ... ...
아들 건강 위협하는 엄마의 저주
동아사이언스
l
2017.08.22
GIB 진화이론 중에는 엄마로부터 전달되는 미토콘드리아유전자(이하 mtDNA) 돌연변이가 아들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 이른바 ‘엄마의 저주’다. 최근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처음으로 제기됐다. 캐나다 퀘백대 인구유전학실험실 엠마뉴엘 밀로트 교수팀은 17세기 초부터 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불에 익히면 음식의 화학적 구조가 달라진다. 전에 없던 독소가 생기기도 하고, 있던 독소가 없어지기도 한다. 이를 먹는 우리의 소화 효소에도 변화가 생길 수밖에 없다. 오늘날 인간의 해독 체계와 효소 화학이 대형 유인원들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알려진 바는 극히 적다. - 리처드 랭엄 지금 ... ...
제브라피쉬는 앞을 보지 않고 어떻게 헤엄을 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표지로 읽는 과학 - 네이처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작은 몸으로 물살을 가르는 제브라피쉬(Danio rerio)가 담겼다. 3~4㎝ 길이의 제브라피쉬는 수정란을 얻기 쉽고 세대교대도 빨라 척추동물의 발생 과정을 연구하는 데 주로 활용돼 왔다. 최근 국제 공동 연구진이 제브라피쉬가 어 ... ...
애니메이션 만드는 ‘모션캡처’로 뼈, 근육건강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30
“뛸 때 보면 왼쪽 팔꿈치는 수직으로 많이 움직이는데, 오른쪽 팔꿈치는 수평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좀 있네요.” 김수연 강남세란의원장이 기자의 움직임을 분석한 영상과 그래프를 보며 몸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김진호 기자 twok@donga.com 제공 런닝 머신을 뛰었을 뿐인데 눈 앞의 ... ...
불임-피임, 이제 남성의 몸도 연구한다
2017.06.30
응고된 정액과 정자. 정자의 에핀 단백질에 항체가 붙으면 응고된 정액을 다시 액체로 만들 수 없어 여성의 질 안으로 정액이 들어가지 못한다. 이 원리를 활용한 남성 경구 피임약이 개발되고 있다. 사진 - 마이클 올랜드 교수 논문 제공 난임 부부 중 문제가 있는 건 어느 쪽일까? 여성 40%, 남성 40%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