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44건 검색되었습니다.
페인트 칠하듯 발라 저렴하고 성능 좋은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제작한 뒤 코팅하는 '용액 코팅법'을 활용해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광흡수층
두께
를 기존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줄여 고가 희귀원소인 인듐과 갈륨 사용량을 줄여 생산성을 개선했다. 또 태양전지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비정질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후면 계면을 제어할 수 있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01.28
바로 여기 아주 작은 나노 세계에서 두 번째 0차원의 문이 열립니다. 판상 형태로
두께
가 얇은 그래핀(하늘색)은 2차원이다. 이 그래핀을 빨대처럼 말면 1차원 탄소나노튜브(보라색)가 된다. 축구공처럼 만든 풀러렌(초록색)은 0차원이다. 과학동아 DB ● 흐린 눈으로 보면 점처럼 보입니다 ... ...
'앤트맨' 구현?…미시세계 속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관찰했다. 미세유체 채널은 2개의 얇은 판 사이로 액체가 흐르도록 설계됐다. 채널의
두께
가 입자 크기와 비슷한 2차원 입자계에서는 액체보다 천천히 움직이는 입자가 가까이 위치한 다른 입자에 영향을 미쳐 입자들이 짝을 지었다. 마치 우리가 물속에서 눈을 감고 있어도 가까운 거리에 ... ...
원전 확대 필수조건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은 '성숙' 실증은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필요하다. 연료봉은 지하의 고압을 견디기 위해 주철로 만든 처분용기에 담고 이를 5cm
두께
구리로 코팅한다. 구리는 100만년에 0.5mm 이내만 녹슬 정도로 부식에 강한 금속이다. 이 용기는 다시 완충재인 벤토나이트로 감싼다. 벤토나이트는 물을 먹으면 부풀어 압력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는 광물로 ... ...
2027년 '아라온호'보다 강한 쇄빙연구선 극지 누빈다
과학동아
l
2023.01.14
있다. 극지연은 차세대 연구쇄빙선을 준비하며 기후변화 전문가들이 5년 주기의 해빙
두께
변화를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검토했다. 이를 바탕으로 확보할 수 있는 예산 내에서 오버 스펙이 아닌 수준으로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능력과 규모를 책정한 것이다. 차세대 연구쇄빙선 모형선은 선수로 ... ...
생쥐에 이식한 인간 뇌, 외부 자극에 반응 순간 포착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뇌 촬영 기술을 개선했다. 투명한 그래핀으로 만든 미세전극과 살아있는 조직을 1mm
두께
까지 촬영할 수 있는 2광자 현미경을 결합했다. 2광자 현미경은 기존 1광자 현미경이 1개 광자를 흡수하는 것과 달리 광자 2개를 동시에 흡수한다. 광자의 파장이 2배가 되면서 더욱 정밀한 촬영이 가능하다. ... ...
의료계 반발 부른 한의사 초음파 기기 사용법 뜯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검증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초음파 기기를 사용해 환자의 자궁내막의
두께
를 관찰한 행위에 대해선 “전형적인 산부인과의 초음파 검사방법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 의사단 강한 반발 “한의사, 초음파 진단기기 사용했지만 진단 제때 못 해” 이필수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 ...
화재위험 낮춘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2
안전하고, 구기거나 자르는 등 극한의 변형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또 1mm 이하
두께
로도 제작돼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연구성과는 2020년 정부출연연구기관 10대 우수연구성과와 지난해 국가연구개발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기도 했다. 기술이전을 받는 솔리드앤이에스는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반도체 웨이퍼 절단 없는
두께
분석장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0
측정하기는 어려웠는데 연구팀은 근적외선 간섭 현미경을 개발해 실리콘 박막의
두께
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이 현미경은 1㎛(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급 단층 박막-공동 구조를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미만 편차로 측정이 가능했다. 이 교수는 "안전하고 정밀한 장점 때문에 ... ...
한빛1호기·신고리2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2.16
정기검사를 통해 격납건물 내부철판(CLP)에 대한 건전성 점검 결과 열화에 의한 기준
두께
(5.4mm) 미만 부위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CLP는 사고 시 방사성물질 누출을 막는 철판이다. 또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 과정에서 발견된 7개 이물질을 제거했고 세관에 대한 비파괴검사가 적절하게 수행됐음이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