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남쪽"(으)로 총 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몽골에서 한반도까지, 독수리의 겨울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90114
- 찾아 삼만리[소제끝] {BIMG_c10} 몽골은 10월이 되면 아침저녁이 굉장히 추워요. 몽골의 독수리들은 이 때가 되면 먹이를 찾아 따뜻한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지요. 어린 독수리는 약 50일 동안 몽골 동쪽과 중국을 거쳐 2000㎞ 넘게 이동해요. 11월 중순에 우리나라에 도착하면 대부분 강원도 철원과 파주에서 겨울을 지낸답니다. 우리나라 ...
- 바하마 제도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231
- 권영인 박사님은 이 곳에서 무엇을 발견했을까요? 박사님의 이야기를 들어 보세요. 11월 20일. 목요일 항구를 벗어나 돛을 모두 올리고 남쪽으로 향했다. 높은 파도가 계속 밀어닥쳐 마치 파도 사이에 낀 작은 종이배에 탄 것 같았다. 과자로 끼니를 때우면서 계속 배를 몰았지만, 시간이 많이 지체되어 바하마까지 가는 길의 중간 정도밖에 가지 못했 ...
- 후끈후끈~, 동물들의 겨울나기 비법(2)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더 있다간 추워서 곧 얼어 죽을 거야. 응? 핫팩? 미안하지만 우리는 핫팩 같은 건 필요 없어. 동료가 바로 천연 핫팩이거든. 따뜻한 남쪽으로 날아가다가 어쩔 수 없이 밤이 되어 추위 속에서 잠을 잘 때는 동료끼리 몸을 붙이고 잔단다. 그러면 서로의 체온으로 추위를 피할 수 있거든. 이렇게나 든든한 동료들이 있는데 핫팩이 웬말이래? 곤줄박이는 ...
- 살아 숨쉬는 자연의 보물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081212
- 초록색과 연한 갈색이 어우러진 예쁜 동박새가 나무에 앉아 숲 속의 분위기를 즐기고 있어요. 동박새는 우리나라 텃새로 한반도 남쪽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곤충이나 식물의 열매를 먹고 살아요. 소쩍새 입선/박성배 천연기념물 제324호인 소쩍새는 수줍은 성격이라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아요. 하지만 밤에는 ‘소쩍~ 소쩍 ...
- 물고기도 여론을 따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127
- 남방계 나비가 늘었다는 건, 우리나라 기후가 따뜻해졌다는 뜻이겠네요? 맞아요. 우리나라 나비 토착종은 모두 253종인데, 이 가운데 남쪽 해양을 통해 들어오는 남방계는 고작 15종 정도랍니다. 그런데 최근 수십 년 동안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추운 북쪽 대륙에서 내려온 북방계 나비의 서식지가 더욱 북쪽으로 이동했지요. 그 결과 경기도 일대에 남방계 ...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넓은 지역에 살았지만 최근 개발로 생태계가 훼손돼 일부 개체만 설악산 지역에 남고 거의 멸종했다. 하지만 올해 5월과 6월, 설악산 남쪽 오대산에서 산양이 발견됐고, 문경새재에서는 월악산에 풀어 줬던 산양이 이동해 사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했다. 큰 포유류가 백두대간을 타고 이동한다는 증거다. 현장! 백두대간 백두대간은 배고파! 백두대간에서 조금 ...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나무도 대표가 될 수 있겠지요.” 내가 백두대간 대표 나무! {BIMG_c10} 백두대간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나무들. 왼쪽 위부터 백두대간 남쪽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신갈나무, 고지대에서 볼 수 있는 주목, 대표적인 식재림 리기다소나무, 북쪽 지방의 가문비나무. 현장! 백두대간 백두대간 능선은 식물이 다양할까? {BIMG_c11} ...
- “와글와글~!” 시끄러워지는 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특성을 가진 구조물을 만들었답니다. 수조를 이용한 실험에서 북쪽으로 들어온 파도가 대부분 구조물에 방해받지 않은 상태로 남쪽으로 빠져 나갔다고 해요. 그렇다면 구조물은 파도의 피해를 벗어날 수 있겠군요. 쓰나미 피해가 잦은 해안가에도 설치하면 효과를 얻을 수 있나요? 아쉽게도 넓은 지역에 적용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여요. 섬이나 해안을 보호하려면 ...
- 양어장은 움직이는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심포지엄에서 우리나라도 농작물의 재배지가 점점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발표했어요. 기후변화로 인해 기온이 올라가자 주로 남쪽 지방에서만 자라던 농작물이 북쪽 지방에서도 잘 자라게 된 거예요. 경상북도에서 주로 재배하던 복숭아는 최근 강원도 춘천에서도 재배가 가능해졌고, 전라남도 보성의 녹차도 강원도, 충청도 등지로 재배 지역이 넓어졌지요. 하 ...
- 찬 바닷물로 적조 뚝!어린이과학동아 l20080829
- 캐서린 버제스 박사는 뉴질랜드 남섬에서 4000만 년 전 유공충 화석을 발견했어요. 4000만 년 전 뉴질랜드는 지금보다 1100㎞ 정도 더 남쪽에 있어 남극에 훨씬 가까웠는데, 퇴적물이 비교적 잘 남아 있어 당시 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곳이에요. 특히 해양미생물인 유공충의 석회질 껍질을 분석하면 오래 전 바닷물의 온도를 알아 낼 수 있지요 ...
이전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