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과거"(으)로 총 1,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가장 희귀한 성씨 TOP 5!!기사 l20240227
- 이번에는 특별부록으로 흔한 성씨가 많아진 이유도 알려드리겠습니다~! ~~김씨가 많아진 이유~~ 고려 문종 9년 때 성씨가 없으면 과거를 급제할 수 없다는 법령이 만들어졌습니다 고려 이전이 신라시대였기 때문에 1차적으로 김씨성을 택하는 이들이 많았답니다! 또한, 한국에 귀화한 외국인들이 김씨를 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조선 초기 여진족들은 ...
- 소설을 완결시키는 방법!기사 l20240227
- 전개, 자잘한 전개들은 세부 전개로 나뉘는데요, 메인 전개에서 벌어질 사건을 세부 전개에서 조금씩 스포를 한다던지, 캐릭터들의 과거사 회상을 넣는다던지 하면 소설을 더 다채롭게 만들 수 있어요. 여기서 팁! 중간에 주인공들이 좀 지루해지는 공간이 생기는데요, 이때 주인공들을 이리저리 움직여 준다던가(소설 내에서 이동을 시킵니다.) 자잘한 적들을 ...
- 프랑켄슈타인 원작을 읽어봤습니다포스팅 l20240224
- 조용히 괴물이 슬퍼하며 우는 것을 바라봅니다-되게 짧은 요약: 시점은 월튼이라는 북극 탐험가 시점 - 북극에서 빅터란 남자를 만남 - 과거, 대학생 빅터는 생명을(괴물을) 창조함 - 근데 무서워서 버림 - 그 괴물이 자신의 반려를 만들어달라고 함 - 빅터가 처음엔 ㅇㅋ 했는데 나중에 약속 파기 - 괴물이 빅터 주변인들 죽임 - 빅터가 괴물 복수 ...
- 일을 벌여버렸어요포스팅 l20240224
- 아니아니 제가 그 올렸던 룰렛으로 캐릭터 만들기? 그거 그렸는데 왜 소설 스토리가 생각이 나죠 전 분명히 그림만 그리려고 했습니다만..... 대충 뭐 까딱하면 죽는 게임에서 뭔가 좀 특별한 캐릭터들 과거사 풀어버리는 내용임.... 캐릭터 설정까지 정리해 버렸어요 ㅋㅋ큐ㅠㅠ ...
- 미띤 이거 2024 단편집 미텼어요포스팅 l20240217
- 아니 엄청나긴 물빠치님(과거이름 해리포터님) 이랑 엄청나신 블루나 님이랑 엄청나신 홍시 님이랑 엄청나신..(n번 반복) 아니 이런 금손들 사이에 낀.. 아니 끼지도 못하고 구석에만 박혀있는 화석 아니 돌멩이 아니 개똥 아니 먼지 아니 초미세먼지 자까..ㅜㅜ (아 마지막은 저 입니다) ...
-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업적기사 l20240216
- 또, 6.25 전쟁 당시 양민 학살 사건이나 중앙정보부장 김형욱 암살 사건, 그리고 간첩 조작 사건 등 그간 은폐되고 조작되었던 과거사를 조사, 정리하는 등 역사 의식을 개선했죠. *그 이외의 윤보선과 최규하 대통령은 5.16 군사 혁명과 12.12 사태로 인하여 임기 기간이 너무 짧았기에 쓰지 않았고,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은 역 ...
- 역사는 왜 배울까?기사 l20240215
- 현재 우리 삶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과거의 산물로서 현재의 모든 사실은 과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처럼 역사에는 인류가 지금까지 쌓아온 온갖 삶의 경험과 지혜가 담겨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역사를 배우면 현재에 당면한 과제를 올바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안목과 지혜, 교훈을 ...
- 왜 신호등 초록불을 파란불 이라고 부를까?기사 l20240205
- 초록불을 파란불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언어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언어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초록과 파랑을 구분하는 능력이 부족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초록불과 파란불을 모두 파란불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을 것입니다. 이러한 언어적 관습은 세대를 거치면서 전해지고, 어르신들이 그대로 사용하 ...
- 그만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포스팅 l20240125
- 쉽게 말하면 저도 잊힐 권리 있으니까 그만 언급하라는 얘깁니다. 여러분들 중에서 몇몇 분들께서 저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시고 저를 언급하시는 것 같아 말씀드립니다. 일부 유저분들이 일반적이지 않은 글들을 지속해서 작성하는 ... 같은 사람이 이곳에 다시 한번 나타나지 않기를 누구보다 제가 바라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의 옳지 ...
- 동아시아 과거의 큰 수기사 l20240119
- 안녕하세요~ 박주언 기자입니다. 오늘은 동아시아의 과거의 큰 수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해요. 함께 알아볼까요? 과거에는 '억' 이라고 하면 만의 만 배가 아니라 만의 10배. 즉 오늘날의 10만을 의미했어요 ... 하지만 수당시대(수나라, 당나라가 있었던 시대를 합쳐 부르는 말)까지는 재를 가장 큰 수로 보았다고 합니다. 여러분~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