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크"(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송이버섯 VS 양송이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4호
- TV에서 ‘송이버섯’이 나오는 걸 봤어요. 그날 저녁 반찬에 비슷한 버섯이 있길래 송이인 줄 알았는데 엄마는 ‘양송이버섯’이랬어요. 둘이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려요~! 최수빈(창원 석전초 4)송이버섯송이는 소나무의 뿌리에 균사를 내리고 자라나는 송이과의 버섯이에 ...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와~! 이제 이번 기말고사만 끝나면 여름방학! 여름엔 역시 동해지! 깨끗한 바닷물, 반짝이는 백사장에서 맛있는 치킨을…. 응? 뭐라고? 동해 해수욕장에 모래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안 돼! 바다에서 물놀이 할 생각에 다이어트했단 말이야. 이렇게 여름이 오기도 전에 방학 계획을 망칠 순 없지. ...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약수터로 가는 뒷산 나무에서 귀여운 곤충을 발견하고, “장수풍뎅이다!”라고 외쳤어요. 그런데 옆에 가시던 아저씨가 “그건 사슴벌레란다”라고 하시는 거예요.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는 똑같아 보이는데, 어떻게 다른 거죠? 김진수(부산 화정초 4)사슴벌레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에 속해요. ...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대만 같은 세계 각지의 주요 국립공원과 도시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어.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에서는 새로운 동물이 발견되기도 했어. 절지동물인 노래기 신종이었지.우리나라는 2010년 경북 봉화에서 처음 시작해 올해로 5회째야. 우리는 지난 6월 14일 오후 2시부터 다음날 오후 2시까지 24시간 동안 ... ...
- 월드컵 유니폼의 충격 고백 “전 플라스틱 조각이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안녕하세요. 전 2014 월드컵 대한민국 대표 유니폼이에요. 가볍고 바람도 잘 통하고 땀도 쑥쑥 흡수해 올 여름 태극전사들의 승리를 뒷받침할 똑똑한 아이지요. 응? 뭐라고요? 제 정체가 사실은 ‘플라스틱’ 아니냐고요? 그래요. 전 사실 여러분의 냉장고 안에 있는 ‘페트병’에서 태어났답니다. ... ...
- [수학뉴스] 달리기를 잘 하고 싶다면 수학에 주목하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달리기를 잘 하기 위해 운동선수는 체력을 단련하고 몸에 좋은 식단을 갖추곤 한다. 이런 방법도 좋지만, 달리기 전략을 수학으로 알아보면 어떨까.프랑스 베르사유 생캉탱 이블린대(UVSQ)의 수학자 아망딘 아프탈리옹과 프레데리크 보낭스 교수는 최근 가장 이상적인 달리기 전략을 찾아 주는 방정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올 여름, 전 세계를 뒤덮은 ‘에볼라 공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에볼라로부터는 아직 안전하지만,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2009년 신종독감, 최근 조류독감과 같은 질병은 사회 문제로 떠오를 만큼 심각했다. 수학자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국내외 수학자들은 ‘질병 수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감독의 작품이고, 나머지 5개 작품은 모두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이다. 용산역 아이파크몰 6층 특별전시관에서 내년 3월 1일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독자기자들은 전시 총감독을 맡은 씽크브릿지 전용덕 대표를 만나 전시를 함께 돌아보며, 전시 기획부터 연출까지 궁금한 점을 직접 물었다 ... ...
- [수학뉴스] 컴퓨터 인공지능은 수학으로 마술을 부린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컴퓨터에 인공지능이 있다면 무엇이 가능할까? 최근 영국 런던퀸매리대 인공지능 연구팀은 컴퓨터가 기하학과 같은 수학 원리를 활용해 스스로 새로운 마술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연구팀은 이 소프트웨어에 직소퍼즐과 카드 마술의 원리와 어떻게 사람이 마술의 속임수를 이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반응이 뜨겁다. 지난 6일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가 11일 만에 누적관객수 500만 명을 넘어섰다. 흥행 비결 중 하나로 블랙홀과 웜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이 손꼽히고 있다. 특히 과학자가 직접 계산한 수식에 따른 블랙홀과 웜홀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내용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