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영
반사
그림자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투영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뒤진다소행성대는 하늘에서 태양이 일년 동안 지나는 길인 황도대(이것은 하늘에
투영
된 지구공전궤도와 같다)와 거의 일치한다. 이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과거 ‘건판시대’에 그랬던 것처럼 황도대를 집중적으로 촬영하고 있다.하지만 NEA 가운데는 지구궤도와 큰 각도를 이루면서 움직이는 것이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올려다봤을 때 북두칠성의 모습을 뒤집어놓은 것과 같다. 이렇게 하늘에서 땅으로
투영
하는 방법으로 그려진 별자리 그림은 고구려나 고려고분에서 종종 관찰된다. 반면 고구려시대의 진파리 4호분(평양시 무진리 소재)의 천장 별그림에서 보이는 북두칠성은 하늘을 올려다봤을 때의 모습이다. 두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까만 점을 살펴본다. 이것은 위성이 목성 앞을 지나갈 때 위성의 그림자가 목성 표면에
투영
되는 현상이다. 둘째, 4대위성이 늘 4개가 보이는 것이 아니라 2-3개 밖에 안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1-2개의 위성이 목성 본체 뒤로 들어가 숨어버리기 때문이다. 마치 목성과 숨바꼭질을 하는 듯하다.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것이다.필자 역시 국립중앙과학관의 천체
투영
관에서 이와 유사한 실험을 해보았다. 천체
투영
관에서는 별들뿐만 아니라 달도 돔 벽면에 비춰볼 수 있다. 그래서 중천에 뜬 달과 동쪽에서 방금 뜬 달의 겉보기크기를 비교해볼 수 있었다. 그 결과 방금 뜬 달, 즉 지평선 가까운 달이 약간 더 커보인다는 ... ...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산란되는 반면, 파장이 긴 적색광은 대기권을 통과해서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 부분에
투영
되기 때문이다. 바로 붉은 빛이 포함된 그림자가 달 표면에 떨어져서 개기 월식의 달을 붉게 만드는 것이다.개기식 중의 달의 밝기는 지구 상층 대기에 있는 먼지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지난 1991년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있는 물질의 분포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 모습은 3차원 우주가 2차원 하늘에
투영
된 것이므로 우주의 3차원 구조를 잘 알 수 없다. 우주의 3차원 구조를 알기 위해서는 각 은하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이렇게 많은 은하들의 거리를 모두 알 수 있을까?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접안렌즈를 통해 나온 태양 빛을 잘 맞추어 보면 흑점의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투영
법으로 관찰할 때도 1분에 두번 정도 망원경이 과열되지 않도록 식혀주는 것이 필요하다.일식의 원리태양은 지구보다 1백9배 가량 크지만 달은 지구의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나 태양은 달보다 약 ... ...
추석 차례상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또 달빛 아래서 여인들이 둥글게 원을 그리며 추는 강강술래도 알곡과 보름달이
투영
된 춤이다.북망산과 신위차례에서는 신위를 상좌인 북쪽에 놓는다. 경우에 따라서 북쪽에 놓을 수 없더라도 신위가 놓인 곳을 북쪽으로 한다. 상례(喪禮)에서 죽음이 확인되면 죽은 이의 머리를 북쪽으로 향하게 ... ...
조선백자 뒤에는 숲이 있었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문화산이다. 이름 없는 장인들의 손으로 빚어진 도자기들은 조상들이 누렸던 삶에
투영
돼 하나의 예술품으로 승화된 것이다. 이들 귀중한 문화유산을 돈으로 따지는 것 자체가 선조들의 심미안과 장인들의 예술혼에 누를 끼칠 수 있는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오늘처럼 물질 중심의 가치관이 ... ...
용가리와 고질라에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스태블포드의 말대로 막연한 죄의식이 깔려 있다. 괴물은 대개 인간의 사악한 면이
투영
된 것이며, 괴물을 없앰으로써 각자 숨겨놓은 죄악을 징벌하는 효과를 얻는다는 말이다.괴물은 지구상의 어느 문화권에서도 관찰되는 보편적인 상징이다. 20세기 이전까지는 초자연적인 기원을 가진 경우가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