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엄마가 말하는 최-정-담, 호기심이 넘쳐 흐르는 아이
수학동아
l
2023년 02호
어떤 삶을 살았으면 좋겠나. 많이 웃었으면 좋겠다. 행복은 하루 중 얼마나 웃었는가로
측정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정담이는 ‘한번 사는 인생을 어떻게 하면 잘 살지?’를 끊임없이 생각하며 살고 있다. 그렇게만 한다면 늘 지지하고 싶다. 또한 나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세상에 기여하는 삶을 살길 ... ...
[이달의 뉴스] 비처럼 쏟아지는 미세플라스틱 호흡기 질환 유발 가능성도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지적했다. 독일 연구에서는 63㎛(마이크로미터㎛는 100만분의 1m)보다 큰 미세 플라스틱만
측정
했는데, 오클랜드대 연구팀이 수집한 미세 플라스틱은 대부분 크기가 10~50㎛였다. 100㎛보다 큰 미세 플라스틱은 전체의 3%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작을수록 그 수는 ... ...
[가상 인터뷰] 세로토닌 억제 물질로 모기 개체 수 조절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억제 물질을 투여한 수컷 모기의 귀를 레이저로 조사했지. 레이저는 매우 민감한
측정
도구로 모기 귀의 아주 작은 진동도 감지할 수 있거든. 연구팀은 실제로 수컷 모기 귀의 진동이 감소한 걸 확인했어. 수컷 모기가 반응하는 주파수의 범위와 실제 모기의 대응도 모두 감소했지.세로토닌 억제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거리와 펭귄 항문의 지름을
측정
했다. 돌아와서는 동물원으로 곧장 향했다. “점도를
측정
하려면 펭귄에게서 배설물을 수집해야 했거든요.” 지독한 악취를 견딘 결과, 펭귄은 올리브 오일 정도의 끈끈한 배설물을 40cm 거리까지 발사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때 펭귄 항문의 압력은 최고 0.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수학을 좋아해서 복수전공을 시작했어요. 그런데 대학에서 역학 수업을 듣는데 오차(
측정
값과 참값의 차이)를 무시하고 계산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저는 조금 더 엄밀하게 계산하고 싶은 욕심이 났어요. 수학에서는 작은 오차를 없애기 위해 연구한다는 걸 알고, 수학이 제게 더 맞는 것 같아서 ... ...
[과학뉴스] 지구 무게는 6론나그램, 새 접두어 4개 도입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있었다. 그는 이어 “론토와 퀙토는 양자과학과 입자 물리학에서 아주 작은 것을
측정
할 때 유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접두어 도입으로 매우 크거나 작은 물체를 간단히 표현할 수 있게 됐다. 가령 지구의 질량은 6론나그램, 목성의 질량은 2퀘타그램, 전자의 무게는 1론토그램으로 나타낼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있습니다. 물론 김 책임연구원의 말처럼 빛의 속도의 한계는 있지만요. 그리고 양자얽힘
측정
결과 정보를 토대로 물체를 재구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1초까지 획기적으로 단축했습니다. 순간이동 포털을 현실로 불러온 겁니다. 주의: 양자역학적 순간이동자가 감수해야 할 것 래빗홀 컴퍼니의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구성된 회사다. 대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장비를 만들고 분석한다. 대기 난류를
측정
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일기예보 기술과도 비슷하다. 이러한 기술에 빠질 수 없는 분야가 빅데이터와 기계학습이다. 한편 난류 현상에 대한 해석 자체는 유체역학적 이해를 기본으로 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우리는 엄청난 정확도로 원자나 분자의 위치를 조작하고 임의의 양자 상태를 만들어
측정
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며 “그럼에도 아직 더 알아낼 것들이 너무나 많다”고 했다. 하인리히 연구단장은 연구단의 미래에 대한 포부를 밝히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의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사각기둥 형태로 잘라냈다. 모형선이 부딪혀 깬 얼음의 강도와 두께를 정확하게
측정
하기 위해서다. 빙해 수조의 얼음은 67mm로 만들었지만 가로세로 32m의 빙해 수조 모든 곳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얼 수는 없다. 때문에 실험이 끝난 직후 얼음 시편을 채취해 얼음 두께와 강도를 기록한다. 기록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