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끝
최종
궁극
오메가
결말
꼴찌
d라이브러리
"
최후
"(으)로 총 50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괴로워하는 게 아니겠어요! 스파이더맨은 베놈이 큰 소리에 약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최후
의 승자를 축하하기 위해 준비해 놓은 북과 꽹과리를 마구 울려 베놈을 꼼짝 못 하게 했습니다.그러자 투명인간이“나 잡아 봐라!”하면서 스파이더맨을 괴롭히기 시작했습니다. 스파이더맨은 투명인간을 볼 ... ...
당신의 사랑 유형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줄리엣’은 아름다운 영혼을 가진 두 주인공의 사랑과 비극적 결말로 유명하다. 하지만
최후
를 맞기 전에 두 주인공이 벌인 아름다운 첫날밤 이야기를 읽으면서 여러분 자신이 얼마나 가슴 떨려 했었는지 기억하면 에로스적 사랑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이유를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사랑의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예측했다. 이 업적으로 그는 1983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백색왜성은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이다. 태양 같은 별이 말년에 중심에서 핵반응을 멈추면 자체 중력 때문에 붕괴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전자가 같은 상태에 2개 이상 있을 수 없다’(파울리 배타원리)는 양자역학의 결과로 생기는 ... ...
뮤지컬 CATS로 본 고양이 생활백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떠올린다. 악명 높은 해적 그로울타이거는 적의 기습공격을 받고 바다로 몸을 던져
최후
를 맞는다. 물을 싫어하는 고양이가 해적이 된다면, 게다가 바닷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며 죽어간다면 정말 끔찍한 일이다.고양이는 개와 달리 물을 싫어한다. 목욕을 시키면 발버둥을 치며 욕조를 탈출하려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신호를 내보내는 중성자별이 바로 펄서다. 펄서의 신호는 별이 죽어가며 자신을 사르는
최후
의 불꽃이리라.놀랍게도 외계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된 곳이 바로 펄서 주변이었다. 그것도 지구형 행성이 발견됐다. 죽은 별 주변에 지구 같은 행성이 존재하다니 죽은 나무에 꽃이 핀 걸까. 별의 시체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100배 더 강력한 규모라고 밝혔다. 보통 초신성 폭발은 태양보다 8배 이상 무거운 별이
최후
를 맞을 때 발생하는데, SN2006gy는 그 규모로 봤을 때 태양보다 약 150배 무거운 것으로 추정됐다.천문학자들은 우리은하에 있는 ‘용골자리 에타별’(Eta Carinae)이 폭발하면 SN2006gy와 비슷한 규모를 보일 ... ...
결핵 안전지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타인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위험 때문에 직장을 잃고 가족에게도 외면받는다.
최후
통첩을 받은 뒤에도 고통스러운 생활이 5~10년이나 지속된다.사실 결핵은 항생제가 매우 잘 듣는 병이기 때문에 6개월 동안 약을 성실하게 복용하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다. 이 씨처럼 결핵약을 복용하다 임의로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변하는 정도태양 주위를 돌며 둥근 천체로 영어명은 'dwarf planet'이다 태양 같은 별의
최후
인 고밀도 천체를 '백색왜성'(white dwarf)이라 부르는데서 착안한 명칭이다핵연료이자 핵무기에 쓰이는 방사성 원소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한 폐핵연료봉을 잘라 질산에 녹인 다음, 플루토늄 흡착 기능을 가진 ... ...
죽음을 부르는 마른 몸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기초적인 에너지 소모를 줄이면서 우선 근육을 태워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지방은
최후
의 순간을 위한 ‘비상식량’으로 남겨둔다.따라서 굶어서 살을 빼는 다이어트는 우리 몸을 점점 더 지방덩어리로 만들 수 있다. 근육이 줄어들면 면역력이 약해져 감기나 결핵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게다가 ... ...
제15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방향으로 650광년 떨어져 있는 행성상성운으로 거대한 눈처럼 보인다. 태양 같은 별이
최후
를 맞이할 때 행성상성운이 생긴다.동 상신범영(일반)-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884와 NGC869)페르세우스자리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이중성단. 강원도 화천군에서 지난해 한여름밤에 찍은 작품이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