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표"(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발생한 진동은 세기나 유형에 상관없이 1km 근방으로 전파됐다. 코끼리가 빨리 움직이면 지표에 미치는 힘이 세지며 진동은 더 멀리까지 전파됐다. 가장 멀리는 3.6km까지도 퍼졌다. 또한 달리기, 우르릉거리기, 규칙적인 걷기 등 코끼리의 행동에 따라 지진파의 패턴이 달라졌다. 이는 곧 지진파의 ... ...
- [한페이지 뉴스] ‘빗물이 산을 깎는다’ 숫자로 증명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채취해 베릴륨 동위원소(10Be)의 비율을 측정했다. 베릴륨 동위원소는 우주선(cosmic ray)이 지표 물질과 반응해 생성되기 때문에 베릴륨 동위원소의 비율을 조사하면 퇴적물이 외부에 얼마나 오래 노출됐는지 계산할 수 있다.이를 바탕으로 암석이 모래 알갱이가 되기까지 침식이 일어난 속도를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10m가 넘는 우주 전파를 측정할 수 없어요. 이 전파들은 지구 대기의 이온층에서 반사되어 지표에는 도달하지 않거든요. 대기가 없는 달에 전파망원경을 설치하면 이 긴 파장의 전파 신호를 다 관측할 수 있어요. 거기다 달 뒤편에서는 태양, 지구, 지구의 이온층, 인공위성에서 발생하는 전파 잡음이 ...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소행성에서는 중력을 측정하기 어려워요. 지구처럼 구형인 천체에서는 천체의 중심과 지표면의 거리가 일정해 중력이 어디서든 비슷하게 측정돼요. 하지만 모양이 불규칙한 소행성에서는 물체가 소행성의 어디에 있냐에 따라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달라지죠. 나사 제트추진연구소의 ... ...
- [한페이지 뉴스] 명왕성 산꼭대기 서리는 메탄 99%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아니라 형성 과정도 지구의 서리와는 전혀 달랐다. 지구의 서리는 수증기가 풍부한 지표의 공기가 서서히 상승하면서 주변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수증기가 응축돼 만들어진다.반면 명왕성 크툴루 지역의 산은 강한 상승기류로 인해 서리의 성분인 메탄이 높은 고도에 몰려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월 2일 미국 CNN과의 인터뷰에서 “피인용률은 연구자의 업적을 판단할 때 중요한 한 가지 지표”라며 “이를 바탕으로 과거 노벨상에 선정됐던 분야인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올해는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단 한 명도 맞추지 ...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년 전 6·25전쟁 당시 변변찮은 무기로 싸워야 했던 국방력이 얼마나 성장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10월 1일 국군의 날을 맞아 국군이 보유한 첨단 장비를 살펴봤다. 바다에서 기습 발사하는 미사일 SLBM 해군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2척의 구축함과 15척가량의 잠수함 등 총 200여 척의 함정을 갖추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줄어들지만, 기온은 어느 정도 올라가다가 오후 2~3시가 되면 최고 온도가 돼요. 이후 지표면이 식으며 다음 날 해가 뜨기 전까지 기온이 계속 떨어지지요. 그래서 다음 날 일출 즈음이 가장 기온이 낮답니다.이렇게 하루 동안 나타나는 최고, 최저 기온의 차이를 ‘일교차’라 불러요. 이때,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광학 원격탐사의 경우 태양의 고도나 구름의 양에 따라 광량이 달라진다. 그 결과 똑같은 지표를 촬영하더라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현장 조사는 인공위성 원격탐사 자료를 검증하고 보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래서 우리 연구팀은 현장 조사도 직접 나간다. 한국 쇄빙연구선인 ... ...
- [People] “나는 극지 과학자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연구에 뛰어들었습니다. 해빙과 빙하, 영구동토층, 극지동물의 서식지 등 극지의 특별한 지표면을 인공위성으로 바라보는 데 깊은 매력을 느낍니다. 지구와 인간에게 모두 도움이 되는 원격탐사 기술을 발전시키는 게 목표입니다. ■박정원 선임연구원(지질학 전공)인공위성을 이용하면 사람이 발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