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간"(으)로 총 2,5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니가 옛집으로 돌아온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두 마리가 물리적인 접촉은 피하면서 서로 얼굴과 체취를 익히게 했어요. 얼마 뒤 막았던 중간 문을 열자 하니와 향미와 동백이는 서로의 공간을 들락거리며 함께 지내게 되었어요. 서로에게 큰 관심은 없어 보였지만, 하니는 사육사가 없는 밤에도 향미와 동백이가 있어 안정감을 느끼는 것 ... ...
- [통합과학 교과서] 금도끼는 사양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가게 그리기로 정했어요. 또, 한 번 N극에서 나온 자기력선은 중간에 끊어지거나 나뉘지 않도록 그리기로 했지요. 그러면 자기력이 센 곳은 촘촘하게, 자기력이 약한 곳은 성기게 자기력선이 그려져요. 이를 통해 자기력선만으로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 범위를 파악할 수 ... ...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지하 실험실은 고요하고 시원했어요. 가파른 계단을 내려가자 나타난 실험실 중간에는 육중한 기계 덩어리가 놓여 있었죠. 놀란 기자가 물었어요. “이게 저울이라고요?” “맞아요. 이 기계가 바로 ‘키블 저울’입니다.”기자를 안내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김명현 박사가 대답했어요.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양자암호로 통신하면 암호를 아는 사람만 정보를 해석할 수 있어요. 만일 해커가 중간에 광자를 훔쳐보려고 하면 관측 시 하나의 값으로 결정되는 양자의 특성 때문에 해킹이나 복제를 할 수 없게 돼요. 동시에 정보를 주고받던 사람은 해커의 존재를 바로 알아챌 수 있지요.지난 6월 16일, 중국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감염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다. 박쥐 몸속에 있던 바이러스가 천산갑으로 추정되는 중간 숙주를 거치며 인간과 동물 모두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로 변형됐다. 에볼라, 사스(SARS), 신종 인플루엔자 등이 대표적인 인수공통 감염병이다. 11월 4일 생물다양성 과학기구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있을 겁니다. 원래 KSTAR의 플라스마 운전 실험이 진행 중일 때는 출입이 불가능한데, 실험 중간에 플라스마를 꺼둔 상태네요.”김웅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연구센터 플라즈마안정화연구부 부장은 기자를 핵융합 실험동 주장치실로 안내했다. 입구에서 안전모를 착용하고 짧은 복도를 따라 ... ...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미국 제약사인 모더나가 개발 중인 백신이 94.5%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는 임상 3상 중간결과가 11월 16일(현지 시각) 발표된 것이다. 이어 11월 18일(현지 시각)에는 미국 제약사인 화이자와 독일 제약사 바이오테크가 공동 개발 중인 백신이 95%의 면역 효과를 보였다는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 ...
- [미국유학일기] 오픈북 기말고사 시간, 장소는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망쳐서 70점대의 점수를 받은 적이 있다. 하지만 평소 과제를 굉장히 열심히 했었고, 중간고사 성적도 매우 좋아서 최종 성적으로 A를 받았다.물론 시험을 잘 보면 기분이 좋고, 최종 성적을 잘 받을 확률도 높다. 그러나 못 봤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취업할 때 작은 성적 차이는 결정적이지 않고, ... ...
- [독일유학일기] 기말고사에 달린 학점 족보는 필수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기대하지만, 실제 학생들은 평균 8~9학기를 다닌 뒤에야 졸업한다. 카를스루에공대는 중간고사가 없고 기말고사만 있다. ‘삼진 아웃’ 제도라서 시험에서 3번 낙방하면 퇴학이다. 처음 두 번은 필기시험이지만, 세 번째는 구술시험으로 진행된다. 이 구술시험에서 떨어지면 자동 퇴학 처리된다.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특성상 광케이블 안에서는 신호가 광속의 3분의 2정도로 느리게 전송된다. 게다가 중간중간 중계기와 수신기를 거치며 전송 속도는 더 느려진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우주에서 찾을 수 있다. 인공위성에서 직접 지구로 통신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그러면 에베레스트산 정상이든, 8000m 상공 비행기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