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개
석탄
언덕
고갯마루
영마루
영
쓰레기
d라이브러리
"
재
"(으)로 총 634건 검색되었습니다.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태어나 같은 연대를 살아가고 있다. 고양이는 외계생명체도 마녀의 동물도 아닌 존
재
로 그저 우리 곁에 살아갈 뿐이다. 잘못이 있다면 하필 전 세계에서 고양이가 가장 천대받는 한국에서 태어났다는 것이다. 내가 아는 한 길고양이는 결코 위협적인 ‘떠돌이 전사’나 음습한 ‘악령의 동물’이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자료가 많으면 많을수록 결과에 믿음이 가니까! 스티커를 붙여 통계 조사를 하는 것도
재
미있을 거야. 네 번째 딴지!정직하게 기록했나?오, 마이 갓! 실험 결과나 가설이 틀렸다며 기록을 하지 않거나 결과를 고치는 친구들이 있어. 그건 탐구에서 대단한 실수라고! 오히려 실험을 통해 하나의 ... ...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가열했을 때 수증기가 생긴 것은 이 구멍 속에 물이 채워져 있었기 때문이다. 현
재
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올라이트를 만들 수 있으며 그 활용도 또한 매우 높다. 제올라이트의 구멍에 은 나노 입자를 담아 섬유에 붙이면 옷에 베인 냄새를 없애는 섬유가 되기도 하고, 수분이나 양분을 넣어 토양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발달했다. 삼각측량이란 측량을 원하는 지역에 계속 삼각형을 이어 그리면서 거리를
재
는 방법이다. 두 지점 A와 B가 있다(그림4). A와 B 사이의 거리를 직접 잰다. 그리고 또 다른 지점 C를 잇는 삼각형을 그린다. A와 B에서 C를 바라보는 각을 잰다. 삼각형 내각의 합이 180°이므로 ∠C도 알 수 있다. B와 C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중 산소 농도가 현
재
농도의 1/100이 되면서 오존층이 형성됐고, 농도가 계속 증가해 현
재
1/10인 성층권에 오존층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을 흡수해 지상에 자외선이 도달하는 양을 감소시킨다. 오존층이 형성된 후 생물은 물뿐 아니라 대기에서도 ...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해 보자. 실험을 통해 수학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미션◎피라미드를 소
재
로
재
미있는 수학 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평면도형을 가지고 입체도형을 만들라는 수학숙제를 하기 위해 무작정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많이 만들었어요.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여러 방법으로 조합해 보다가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차가움과 따뜻함을 인식하고 체온을 유지하게 한다. 통각수용기는 사람의 표피에 존
재
하는 노출된 수용기로 통각을 인식한다.감각적 기만생명체는 감각을 통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눈을 통해 환경정보를 얻는 과정을 생각해보자. 눈은 빛에 대한 감각기관이다. 운동선수를 볼 때,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생각하는 친환경 제품이 더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 된다. ▲ 몽당연필 속 흑연을
재
활용해 인쇄하는 프린트기.미래 문구의 특징까지 알았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영준이에게 줄 발명품을 만들어 볼까? 영준이가 편하게 쓸 수 있으면서도 안전하고 영준이의 개성이 잘 드러나는 기발한 발명품을 ... ...
상위권대 논술 공략은 필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수시 지원전략의 가장 큰 참고자료는 바로 평가원 수능모의고사 결과다. 수시는 현
재
성적으로 지원 가능한 대학 이상에 도전할 수 있는 ‘희망’이자, 수능 성적이 뜻대로 나오지 않았을 때를 대비한 ‘보험’의 두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각 대학의 여러 가지 전형 요소를 충분히 파악한 뒤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또는 땅콩 모양의 팽대부가 형성된다. 이를 ‘유사 팽대부(pseudo-bulge)’라고 부른다.현
재
까지 우리 은하의 팽대부는 어떤 측면을 보느냐에 따라 서로 모순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별들의 화학조성은 고전적 팽대부에서 예측되는 것인 반면, 팽대부가 상자나 땅콩 모양이며 팽대부에서의 위치에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