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가능한 AI’를 적용하면, 대화형 AI가 답변을 결정한 이유를 확인하고 알고리듬에서 잘못된 부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AI 안에 설명을 위한 네트워크를 추가해 결정에 영향을 미친 요소들을 그래프로 그려 보여주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분석하는 AI의 다양한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각뿔의 꼭짓점’과 ‘꼭짓점’은 정의가 다른데 용어가 비슷해 최은혜 기자가 문제를 잘못 이해한 걸로 밝혀졌어요.각뿔에서 모서리와 모서리가 만나는 점을 ‘꼭짓점’이라고 해요. 꼭짓점 중에서도 옆면이 모두 만나는 점이 ‘각뿔의 꼭짓점’이에요. 각뿔에서 밑면에 있지 않은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시작됐죠. 그런데 요즘 제대로 된 행성 고르기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까딱 잘못 고르면 너무 춥거나 물도 제대로 안 나오기 십상이거든요. 그래서 주로 우리은하 지역의 매물을 담당하는 저, 이행성 공인중개사가 직접 나섰습니다. 우리가 살 외계행성을 현명하게 고를 수 있는 꿀팁, 지금부터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논리적 구성에는 결함이 없는데, 거의 밤을 새워서 끙끙대다가 겨우 원인을 찾았다. 납땜 잘못으로 열에 민감한 부품 한 개가 손상돼 회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던 것이다. 부품 내부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손상됐는지 알아내는 일이 쉽지 않았다.새벽녘에 기숙사로 돌아오며 묘한 감미로움을 ...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명확하게 기준을 정해줄 수 없으니, 직접 시도해보고 다른 연구들과 비교한 뒤 무언가 잘못된 것처럼 보이는 부분을 수정해나가는 수밖에 없었다.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한 뒤에는 하루에 10~12시간씩 차를 타고 제주도 해안도로를 돌며 돌고래를 찾아다녔다. 3월부터 11월까지 1년에 약 8개월씩 몇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정신 혼미하게 만드는 해롱해롱 호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코딱지 대원과 융합을? 흠, 그거 곤란하군.”이제 페가수스 호 선장까지 딱지의 이름을 잘못 부르고 있었습니다. 딱지는 한숨만 나왔습니다.“방법은 한 가지밖에 없네. 우리 둘이 내기를 해서 이기는 쪽이 코딱지 대원을 갖기로 하세!”뜻밖의 말에 루띠가 화를 냈습니다.“아니, 거기서 왜 또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팩트체크’까지 돕는 수학무수한 정보 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알고 있던 기존 정보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닫고 생각을 바로잡는 경험을 합니다. 최근 강 교수님은 차미영 KAIST 전산학부 교수님과 함께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가짜뉴스에 대해 팩트(사실)체크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않는 변이다. 이런 변이는 의미가 없다. 악보에 비유하면, 악보를 필사하다 음표를 잘못 옮겼지만 우연히 화음은 원래대로 유지돼 연주에 영향이 없는 경우와 같다. 나머지 17개가 아미노산을 바꿨는데, 이 가운데 8개는 바이러스의 침투와 별 관련이 없는 단백질에서 발생해 바이러스 기능에 영향을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초콜릿 만들기, 영롱한 초콜릿의 비밀은 템퍼링!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매끈하게 반짝거려야 할 초콜릿에 얼룩덜룩 못생긴 무늬가 생겼습니다. 도대체 뭐가 잘못된 걸까요? 수제 초콜릿을 만들 때 사용하는 커버추어 초콜릿에는 카카오버터, 카카오매스, 설탕 등이 들어있습니다. 이 가운데 카카오버터는 카카오 열매에 들어있던 지방을 추출해 굳힌 것입니다. 초콜릿의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입력되는 데이터가 결정되는데, 0과 2 사이의 1이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0 또는 2로 잘못 기록될 수 있다.정보를 단 두 개의 숫자로 표기해야 하기 때문에 저장 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다는 점은 단점으로 꼽힌다. 십진법으로 표기하면 ‘10’이라고 두 글자로 저장하면 되는 정보가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