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장"(으)로 총 1,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지구의 속사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말해요. 지구 내부를 직접 관찰하지는 못했지만, 그동안 지진이 발생하는 경로나 지구 자기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해 내부 구조를 과학적으로 확인했거든요. 하지만 아직도 일부 사람들은 지구공동설을 믿고 있답니다. 지구 속에 매머드나 공룡 같은 멸종 동물들이 살고 있다는 주장도 하지요. ... ...
- [과학뉴스] ‘외계인의 소리’ 어디에서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현상으로, 자기장이 셀수록 회전율이 높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FRB121102의 신호가 자기장이 강하고 온도가 높은 중성자별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헤셀스 교수는 “파열음의 발생 원인을 둘러싼 여러 이론 가운데 일부를 제외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셈”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nature25 ...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고자기장연구소(CHMFL), 프랑스 그레노블 고자기장연구소 등은 초전도 자석을 이용해 고자기장 연구를 독립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한 교수는 “초전도 자석은 산업적 가치가 크다”며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가속기 등은 물론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거대 장비의 규모를 획기적으로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돼지 혈관 및 심장판막을 산화철 나노입자가 든 특수용액에 적셨다가 얼렸다. 녹일 때는 자기장을 가했다. 그러자 마치 전자레인지가 음식물 안에 있는 물 분자를 격렬하게 회전시켜 온도를 올리는 것처럼, 자성을 가진 산화철 입자가 장기 내부에서 빠르게 돌아가면서 열을 냈다. 조직의 내외부가 ... ...
- [Career] 땀과 공기 통하는 숨 쉬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구조로 만들고, 온도에 따라 고분자물질의 부피가 변하는 현상을 이용해 그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전례가 없는 방식이어서 숱한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정우성 석사과정 연구원은 최근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고분자물질이 부피가 변하는 과정에서 고정되지 않으면 측정값에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휘어진다는 걸 발견합니다. 또 지구에 들어오는 입자의 경로가 조금만 달라져도 지구 자기장의 영향으로 오로라가 소용돌이 모양이 된다는 것도 밝혔죠. 저는 이런 오로라를 피하고 악당과 북극곰을 따돌리며 망망대해를 건너는 험난한 여정을 거쳐 극심한 추위를 막고 마을을 구해냈습니다. 그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연골세포로 분화시켜 연골을 재생할 수 있다. 표면에 자석이 부착된 구조로 외부에서 자기장을 조절해 로봇을 목적지까지 이동시킨다. 로봇이 10분 이내에 목표 부위에 도달하는 정확도는 90%에 달한다. 주 재료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임무를 마치면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된다. 연구결과는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선형가속기를 지나면서 빛의 속도로 빨라지고, 이 전자가 거대한 영구자석이 만든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급하게 방향을 꺾으며 아주 강한 전자기파를 낸다. 이를 방사광이라고 한다. 이때 발생하는 방사광은 파장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매우 짧다. E-XFEL의 경우 0.05nm 수준이다.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영향을 쉽게 받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주파수가 높으면서도 흑체복사나 전기장, 자기장, 원자 간의 충돌 등 다양한 외부 영향에 둔감한 원자는 한정적이라는 것이다. 세슘 시계보다 5만 배 정확하지만그나마 이터븀이 이런 조건에 부합하는 원자다. 이 책임연구원은 “그래도 외부영향을 받지 ...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교수가 버튼을 누르는 상상을 하자, 모자의 전극은 뉴런에서 나오는 뇌파를 감지해 자기장 신호로 바꿨어요. 그리고는 인터넷을 통해 다른 실험실에 있는 스토코 교수의 모자전극으로 이 신호를 전달했지요. 그러자 스토코 교수는 무의식적으로 오른손 집게손가락을 움직여 키보드를 눌렀고, 게임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