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택
자기
자가감염
감염
자가보험
보험
d라이브러리
"
자가
"(으)로 총 87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이용해 계통발생 연구를 한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는 ‘자이레이즈(gyrase)’라는 유전
자가
선택됐다. 자이레이즈는 DNA의 꼬인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 사람과에 속하는 인간과 다른 유인원의 진화를 보기에 변이 속도가 적당하다(리보솜RNA 유전자는 변이 속도가 너무 느리다!)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알레르기와 같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의 대변에서 장내미생물을 추출해 넣는다. 제공
자가
대변을 통해서 전염될 수 있는 질환(간염, 매독 등)이 없는지도 철저하게 검사한다. 검증이 완료된 제공자의 대변(1회)을 믹서로 분쇄한 뒤 가라앉혀 위에 뜨는 맑은 용액 300mL 정도를 관장 등의 방법으로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포식자를 죽이진 못하지만 엄청난 고통을 선사(?)해 달아날 시간을 벌 수 있다(포식
자가
쇼크사 하는 경우도 왕왕 있다).더 놀라운 점은, 느림보원숭이가 영장류 중 유일하게 독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포유류 전체를 통틀어 봐도 독을 가진 동물은 느림보원숭이와 오리너구리 단 두 종뿐이다.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그 뒤 제브라피시가 성체가 될 때까지 키우며 지느러미를 관찰했다.실험 결과, 유전
자가
제거된 제브라피시에서는 지느러미 가시가 제대로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손목뼈 말단에서 지느러미 가시로 연결되는 부위의 작은 뼈가 정상보다 약 1.5~2배 많이 생겼다. 손목뼈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패하더라도 계속 패배자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환경에 적응해 살고, 그 곳에선 승
자가
되기도 한다. 식물은 그 어떤 동물보다도 자신의 자리를 찾아 더 빠르고, 힘차게 움직이고 있다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더 높으리라고 기대할 수 있다.정리하자. 근연도는 개체군 평균에 비해 행위자와 수용
자가
유전적으로 얼마나 더 유사한지 알려주는척도다. 근연도가 0보다 크다면, 해밀턴의 규칙에 따라 이타성이 진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족보를 따지는 혈연 관계는 근연도를 0보다 크게 만드는 여러 요인 중의 ... ...
[과학뉴스] 통통 튀는 물방울이 오염 제거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원리와 비슷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로 초발수성 표면에 의지하지 않는
자가
세정 기술의 가능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응용물리학 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 온라인판 7월 5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복잡한 사회 구조와 교육 시스템을 갖추게 됐을 가능성이 있다.인간이든 영장류든,
자가
치료법에 관련한 지식이 이어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체계적인 시스템이다. 똑똑한 한 개체가 나타나 수십, 수백 개에 달하는 유용한 식물을 집단 구성원들에게 널리 알려준다고 해도 시스템이 없으면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숙주의 에너지를 빨아먹는 기생성 세포다. 숙주세포의 방어 작용을 이겨내고 스스로
자가
분열을 할 수 있는 아주 드문 세균이다. 20억 년 전 이 둘이 처음 만났을 때는 초기 진핵세포가 스스로를 지키려는 면역 반응과 이를 미꾸라지처럼 피해나가려는 리케차 박테리아와 군비경쟁이 있었을 것이다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NASA는 우주비행사가 우주정거장 등 지구 저궤도에서 우주방사선으로 인해 3% 초과사망
자가
발생하는 시점을 여성은 18개월, 남성은 24개월(태양활동이 가장 강할 때 기준)로 보고 있다.성별 차이는 선발에 적용 가능이런 차이를 알면 뭐가 달라질까. 한국인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의 주치의였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