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동안 재료를 가져다준 게 너였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어느 날이었어요. 평소처럼 창고에 남아있는 재료를 세어 보던 분동이는 뭔가 이상하다고 느꼈어요. 같은 날, 곳간의 문을 열어본 분나도 고개를 갸우뚱했지요. “내가 가지고 있던 우유는 분명 1/4병이었는데, 모르는 사이에 2/3병이 늘었어. 두 병을 합치니 11/12만큼으로 많아졌네. 누가 나에게 ... ...
- [출동! 기자단] 올 여름은 시원한 '쿨잼 코스'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나라의 앨리스> 속 앨리스의 모험 이야기를 그대로 재현한 공간이에요. 동화 속 앨리스는 이상한 나라에서 집 천장에 머리가 닿을 만큼 몸이 커지기도 하고, 난쟁이처럼 몸이 줄어드는 낯선 경험을 거칩니다. 기자단은 앨리스가 되어 시계토끼가 드나드는 나무 구멍을 따라 들어가 모험에 ... ...
- [질문하면 답해ZOOM] 시력은 좋아질 수 없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하면 망막에 초점이 정확히 맺히지 못해 근(원)시● 같은 굴절 이상이 나타나며 시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시력은 언제 완성될까요? 시력은 아기가 엄마의 뱃속에 있을 때부터 발달하기 시작해 만 10~13세까지 발달합니다. 신생아는 시각을 담당하는 뇌 영역이 아직 미성숙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충돌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목성과 토성을 합하면 태양계 모든 행성의 총 질량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거대해요. 만약 둘이 충돌한다면, 목성과 토성은 중력으로 인해 하나로 합쳐지며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방출할 거예요. 또 폭발로 발생한 잔해들이 온 우주로 퍼질 테죠. 그렇다면 지구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마이크로바이옴, 천연기념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등 생물의 몸속에 사는 모든 미생물의 집합체입니다. 사람의 몸속에도 30조 마리 이상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고 알려졌지요. 이는 체중의 약 1~3%를 차지하는 무게이며, 대부분은 대장을 포함한 소화기관에 존재합니다. 호흡기, 구강, 피부 등에도 분포해요. 몸속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주로 세균이지만,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 공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저는 공버섯을 언젠간 꼭 보고 싶은 버섯 리스트에 올렸으나, 이상하게도 그동안 공버섯이 있을 만한 장소들을 둘러볼 때마다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 지난해 여름, 버섯 전국 일주를 시작하자마자 운 좋게 발견할 수 있었어요. 그곳은 강원도 철원의 한 자연 ... ...
- 바둑이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오고 있는 하지홍 교수는 “삽살개 새끼 중 간혹 짧은 털과 얼룩무늬를 가진 개가 태어나 이상하게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조선시대 그림과 문헌 등을 보고 이 개가 사라졌던 바둑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설명했지요. 사진을 남길 수 없었던 옛날, 조상들은 함께 지내던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수십 명의 시민과학자들이 매주 보호구역을 구석구석 누비고 거북을 쫓아다니며 2300시간 이상 거북 연구에 참여했습니다. 지킴이 시민과학자들로부터 직접 이야기를 들으며 이들이 애정을 담아 보호구역을 지키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우리나라에도 법정 보호구역이 많지만, 인력과 예산이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덧붙였지요. 미국지질조사국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보통 번개 섬광은 해발 20km 이상에서는 기압이 낮아 잘 발생하지 않는데, 화산 폭발이 높은 고도에서도 번개를 만들어 낼 만큼 비정상적으로 매우 높은 기압을 형성했을 것”이라며, “화산 분출이 강력한 번개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 [기획] 더워지고 밝아지는 도시, 하루살이 부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되려 그 자리에 살던 하루살이를 보고 혐오하는 셈”이라고 표현했지요. 또한 이상기후도 잦은 대량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요. 김동건 교수는 “최근 3년간 큰 태풍이 오지 않아 하루살이 유충들이 퍼지지 못 하고 한 곳에 뭉쳐 밀도가 늘어났다”고 설명했어요. 수온이 상승하며 성충이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